본문 바로가기

이주은 (Lee, Joo-eun) 논문수  · 이용수 4,940 · 피인용수 13

소속기관
건국대학교
소속부서
문화콘텐츠학과
주요 연구분야
인문학 > 인문학 일반 공학 > 컴퓨터학 복합학 > 학제간연구 인문학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사회과학 > 사회과학 일반
연구경력
-
  • 저자정보 . 논문
  • 공저자 . 저널

저자의 연구 키워드

저자의 연구 키워드
#<The Dangerous Liaison> <Untold Scandal>,Baroque Music
#가상현실
#가족 개별화
#가족정체성
#각색
#국가 정체성
#근대성
#근대화
#김홍도
#다문화 영화
#다문화주의
#대상성
#도상해석
#도시
#디스커넥토피아
#디지털인문학
#로맨스 영화
#마리코 모리
#모바일 미장센
#모바일 오브제
#모성
#목가
#몸의 정치
#문명
#미국미술
#바로크 음악
#바르트의 제 2의 의미
#바르트의 제 3의 의미
#반두비
#북한
#비천한 미술
#사이버공간
#사이보그
#성폭력
#소설 『위험한 관계』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스토리텔링
#승하도해
#시각적 쾌락
#시간 중첩
#시골
#아녜스 바르다
#아모리쇼
#아파트문화
#여성주의
#여행 다큐멘터리
#연쇄적 연상
#영국
#영화<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
#우상
#원격현전
#이미지
#인류세
#인문기능주의
#자본주의
#재현
#전시콘텐츠
#정체성
#제국주의
#조선시대
#지방주의
#추상표현주의
#콜라주
#콜라주 공간
#콜라주 글루
#페티시
#포스트네이처
#포스트휴먼
#한국적
#휴대전화
#Abject Art
#Abstract Expressionism
#Agnès Varda
#American Art
#Anthropocene
#Apartment Culture
#Armory Show
#Bandhobi
#beauty
#Britain
#Capitalism
#cell phone
#Chain of Associations
#City
#Civilization
#Collage
#Collage Glue
#Collage Space
#Corporeal Politics
#Country
#cyberspace
#cyborg
#digital humanities
#digital media
#exclusive field
#Exhibition content
#Family Identity
#Family Individuation
#Feminism
#fetish
#Humanistic Functionalism
#Iconology
#identity
#idol
#image
#imperialism
#independent magazines
#indies
#Joseon dynasty
#Kim Hong-do
#Korean women
#Machine Learning
#makeover
#Mariko Mori
#mobile mise-en-scène
#mobile object
#Modernity
#Modernization
#Motherhood
#Multicultural Film
#Multiculturalism
#National Identity
#neoliberalism
#North Korea
#objecthood
#Pastoral
#personal color
#Posthuman
#post-human
#Postnature
#R
#R.Barthes’s the sencond meaning
#R.Barthes’s the third meaning
#Random Forest
#Regionalism
#representation
#right of disconnection
#Romance Film
#Scandinavian Design
#self-improvement
#Sentence Boundary Detection
#Seungha Dohae (Crossing the sea on a shrimp, 乘鰕渡海)
#Sexual Violence
#South Korea
#Storytelling
#subculture
#taste community
#telepresence
#Temporal Layering
#travel documentary
#virtual reality
#Visual Culture
#Visual Pleasure

저자의 논문

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