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친일파들에 대한 경고장 : 임종국 지음, 《실록 친일파》(1991, 돌베개)
한국역사연구회회보
1993 .06
3‧1 운동의 낯선 얼굴들 – 권보드래, 『3월 1일의 밤-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돌베개, 2019) –
어문론총
2020 .01
마이크 데이비스(Mike Davis), 『슬럼, 지구를 뒤덮다: 신자유주의 이후 세계 도시의 빈곤화』(김정아 옮김, 돌베개, 2007)
도시연구
2009 .06
박태옥 글, 최호철 그림 『태일이』(전 5권) 돌베개 2007~09, 우리 안부를 묻는 태일이
창비어린이
2009 .06
『한국현대사강의 』(김인걸 외, 돌베개)
역사비평
1998 .11
[문학] 임시정부와 전후한국 : 장준하의『돌베개』에 대하여
황해문화
2014 .12
실증과 사유: 텍스트 읽기와 이해 - 박희병,『능호관 이인상 서화평석 1: 회화』,『능호관 이인상 서화평석 2: 서예』(돌베개, 2018)
한국민족문화
2019 .08
박희경, 『한국의 생태사상』, 서울: 돌베개, 1999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1999 .09
개념의 내력에 대한 집요한 추적, 적나라한 자기비판, 그리고 한 아이러니 : 강명관, 『열녀의 탄생』(돌베개, 2009)
코기토
2009 .08
『3월 1일의 밤』을 읽는다 [권보드레, 『3월 1일의 밤』, 돌베개, 2019]
서강인문논총
2019 .08
국제관계가 한반도에 남긴 어두운 그림자 : 『독도 1947 : 전후 독도문제와 한·미·일관계』(정병준, 돌베개, 2010)
영토해양연구
2011 .09
사회ㆍ경제적 맥락에서 본 한국주거양식의 변동, 『한국 주거의 사회사』/손세관ㆍ양세화 외/돌베개/2008
황해문화
2008 .12
염운옥, 『낙인찍힌 몸: 흑인부터 난민까지, 인종화된 몸의 역사』 (돌베개, 2019)
서양사론
2019 .01
함께 살아가야 할 동반자, 이주민들 :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김현미 지음/돌베개/2014
황해문화
2014 .06
세계인의 초상 : 『난민과 국민 사이』/ 서경식 지음 / 돌베개 / 2006
황해문화
2006 .09
몸의 담론으로서 인종주의의 역사 : 『낙인찍힌 몸: 흑인부터 난민까지, 인종화된 몸의 역사』 염운옥 지음 / 돌베개 / 2019
황해문화
2020 .03
정인경, 뉴턴의 무정한 세계: 우리의 시각으로 재구성한 과학사 (돌베개, 2014), 280쪽.
한국과학사학회지
2015 .01
한국의 주택 변천의 역사를 담은 통사 :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임창복 지음/돌베개/2011
황해문화
201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