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에 대한 방사선의 영향 평가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감마선 조사된 미역귀로부터 추출된 조다당의 추출수율 및 미백활성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미백활성은 melanin 합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tyrosinase 억제 활성과 melanocyte의 melanin 생성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방사선의 조사는 선량 의존적으로 조다당의 추출수율을 증가시키고, tyrosinase 억제 활성 및 α-MSH로 melanin을 과생성 시킨 B16BL6 melanoma 세포내 melanin 생성 억제 활성을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감마선의 조사는 미백활성을 갖는 미역귀 조다당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며, 미백 산업 분야에서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extraction yield and whitening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due to gamma irradiation. U. pinnatifida sporophyll was gamma-irradiated at doses of 10, 30, 50, 70, and 100 kGy, then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precipitated with ethanol to extract polysaccharides. Crude polysaccharide yield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irradiation dosage, but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did not change. Melanin synthesi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B16BL6 cells treated with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samples. In conclusion, gamma irradiation increased the crude polysaccharide extraction yield but did not change the whitening activity of U. pinnatifida sporophyll. This implies that gamma irradiation can be used to increase yields in the cosmetic industry, thus increasing prof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