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Ⅰ. 들어가며
Ⅱ. 行爲의 類型(법 제19조 제1항 각 호)
Ⅲ. 合意
Ⅳ. 競爭制限性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3. 12. 12. 선고 2001두5552 판결
[1] 공정거래위원회가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 제19조 제5항에 따라 `2 이상의 사업자가 법 제19조 제1항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고 있다.`는 사실과 그것이 `일정한 거래분야에서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행위`라는 사실의 두 가지 간접사실을 입증하면, 반증이 없는 한, 이에 추가하여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3. 5. 27. 선고 2002두4648 판결
[1] 공정거래위원회가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 제19조 제5항에 따라 ``2 이상의 사업자가 법 제19조 제1항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고 있다.``는 사실과 그것이 `일정한 거래분야에서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행위`라는 사실을 입증하면, 이에 추가하여 사업자들의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합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4. 9. 선고 2007두5387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2. 3. 15. 선고 99두6514,6521 판결
[1]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 제19조 제5항이 "2 이상의 사업자가 일정한 거래분야에서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제1항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고 있는 경우 동사업자 간에 그러한 행위를 할 것을 약정한 명시적인 합의가 없는 경우에도 부당한 공동행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취지는, 공정거래위원회가 같은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5. 8. 선고 2000두10212 판결
[1] 구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1999. 2. 5. 법률 제581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9조 제1항 제1호에서 말하는 `가격`은 사업자가 제공하는 상품 또는 용역의 대가, 즉 사업자가 거래의 상대방으로부터 반대급부로 받는 일체의 경제적 이익을 가리키는 것으로, 당해 상품이나 용역의 특성, 거래내용 및 방식 등에 비추어 거래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2. 5. 28. 선고 2000두1386 판결
[1] 구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1999. 2. 5. 법률 제581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9조 제5항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가 `2 이상의 사업자가 법 제19조 제1항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고 있다.`는 사실과 그것이 `일정한 거래분야에서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행위`라는 사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2. 23. 선고 98두15849 판결
[1]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 제19조 제1항의 부당한 공동행위는 사업자가 다른 사업자와 공동으로 일정한 거래분야에서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같은 항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할 것을 합의함으로써 성립하는 것이므로, 합의에 따른 행위를 현실적으로 하였을 것을 요하는 것이 아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11. 13. 선고 2006두13145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9. 22. 선고 2004두7184 판결
[1] 공정거래위원회가 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1999. 2. 5. 법률 제581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9조 제5항에 따라 `2 이상의 사업자가 법 제19조 제1항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고 있다’는 사실과 그것이 `일정한 거래분야에서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행위’라는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공정거래법상 카르텔 규제의 쟁점 : 실체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규제연구
2010 .12
The Issue of Information Exchanges Regarding Price under Competition Law : Comments on the Supreme Court’s Judgment on the Ramen Cartel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법학논총
2016 .07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공동행위규제에서의 추정제도
홍익법학
2009 .01
정보교환과 묵시적 합의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
2015 .01
상식과 직관에 부합하는 경제분석의 필요성- 경성카르텔에 시장획정을 요구하는 대법원 판례에 대한 코멘트 -
고려법학
2016 .01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공동행위의 제한에 관한 해석론적 고찰
저스티스
2004 .12
硬性 카르텔 規制를 위한 論議
통상법률
2003 .02
미국(美國) 카르텔 규제법리(規制法理)의 발전(發展)과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示唆點)
중앙법학
2007 .05
부당공동행위 추정에 대한 합리적 접근
한국경제연구
2007 .06
Effective Strategies for an International Agreement Regulating Cartels
통상법률
2009 .06
硬性카르텔(Hard Core Cartels) 規制의 最近動向 : OECD의 보고서(2000년)를 중심으로
통상법률
2001 .06
카르텔과 시장진입제한의 효율성
산업혁신연구
2012 .01
공정거래법상 수직적 공동행위의 규제에 관한 연구
경영법률
2011 .01
카르텔 규제의 형사적 집행 효과에 관한 의문들: 공정거래법 전면개편안의 전속 고발권 폐지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고려법학
2019 .01
일시적 가격인하와 부당공동행위의 종기에 관한 분석 : 대법원 2015. 2. 12. 2013두6169 판결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2018 .02
공동행위 과징금 집행시 부당성 요소의 고려 필요성
동아법학
2013 .08
통신 및 미디어 산업에서의 카르텔에 대한 심결사례 연구 : 행정지도, 카르텔유형, 경쟁제한성 판단, 카르텔 제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09 .05
부당한 공동행위 성립에 있어서 경제적 단일체 문제의 검토
법학연구
2013 .02
독점규제법상 ‘합의의 도그마’ 논의의 향방 - 합의의 입증과 관련된 최근 대법원 판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아주법학
2015 .01
부당한 공동행위의 성립 : 사례연구
서강법학
2008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