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권헌영 (광운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언론법학회 언론과법 언론과 법 제10권 제2호
발행연도
2011.12
수록면
83 - 110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인터넷은 표현의 자유에 관하여 새로운 지평을 열어왔다. 특히, 인터넷이 보여준 1인 미디어의 역할은 기존의 미디어 환경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서 세계적 주목을 이끌었다. PC와 웹서비스를 중심으로 기존 인쇄매체, 방송매체와는 다른 가능성을 보여주던 인터넷은 최근 스마트폰 모바일 혁명과 더불어 실제 일상 정치활동에도 혁명적 변화를 가져오는 가공할 파괴력을 실증하고 있다. 그야말로 인터넷은 기존 매체가 담당하지 못하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의 새로운 양상은 새로운 규제모델의 시도를 불러왔다. 특히 우리나라는 인터넷상 표현행위 규제를 위하여 다양한 입법적 수단을 동원하고 있고, 또 새로운 수단을 동원하고자 하는 시도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록 헌법재판소가 인터넷의 언론매체로서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고, 그에 대한 과도한 규제입법을 무력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는 하지만 한국 헌법 구조에서는 일정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것은 미국 헌법의 규정형식이 원칙적으로 표현의 자유 제한입법금지를 천명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우리 헌법은 표현의 자유가 사회적ㆍ국가적 제한 범위 내에 있다는 점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우리나라에서는 인터넷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도적 무력화나 과잉입법의 경우 구체적 상황에 따라 헌법재판소의 사후해석을 통해 합헌의 당부를 결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인터넷상 표현행위 규제를 제도화하고자 하는 입장에서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우회하는 새로운 제도의 입법을 지속적으로 시도할 수 있고, 이것은 다시 입법 공론의 장에서 정치적 의견충돌로 이어지는 일이 최근 더욱 자주 발생하고 있다. 결국 우리는 명문의 헌법 규정을 우회하는 현재의 해석론적 논의를 넘어서 헌법적 가치의 재구성이라는 큰 짐을 감당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일단 인터넷 표현에 대한 규제입법의 시도가 입법권에 보장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는 헌법재판소의 사후적 공권력 통제요소를 우회하기 위하여 보다 쉬운 민사적 책임 강화의 입법형식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은 ISP에게 새로운 언론검열로서 사적 검열의 길을 열어주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할 만하다. 또한 이는 ISP입장에서 보다 많은 비용과 책임의 인수라는 진입규제를 받는 결과가 된다는 점도 예상할 수 있다. 이런 현 상황에서 헌법학적ㆍ언론법학적 접근 방법에서 헌법 가치 및 규정형식의 재구성은 무엇보다 중요한 이슈가 되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인터넷 표현과 ISP의 책임구조
Ⅲ. ISP의 책임론의 구조적 쟁점
Ⅳ. 맺음말: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8)

  • 서울중앙지방법원 2007. 2. 8. 선고 2006가합33062,53332 판결

    [1] 헌법 제10조, 제17조의 규정은 개인의 사생활 활동이 타인으로부터 침해되거나 사생활이 함부로 공개되지 아니할 소극적인 권리는 물론, 오늘날 고도로 정보화된 현대사회에서 자신에 대한 정보를 자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적극적인 권리까지도 보장하려는 데 그 취지가 있으므로 정보통신서비스이용자들은 자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3. 6. 27. 선고 2002다72194 판결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인 인터넷상의 홈페이지 운영자가 자신이 관리하는 전자게시판에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이 게재된 것을 방치하였을 때 명예훼손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지게하기 위하여는 그 운영자에게 그 게시물을 삭제할 의무가 있음에도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여야 하고, 그의 삭제의무가 있는지는 게시의 목적, 내용, 게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9. 4. 16. 선고 2008다53812 판결

    [1] 인터넷 종합 정보제공 사업자가 보도매체가 작성·보관하는 기사에 대한 인터넷 이용자의 검색·접근에 관한 창구 역할을 넘어서서, 보도매체로부터 기사를 전송받아 자신의 자료저장 컴퓨터 설비에 보관하면서 스스로 그 기사 가운데 일부를 선별하여 자신이 직접 관리하는 뉴스 게시공간에 게재하였고 그 게재된 기사가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을 담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7. 12. 14. 선고 2005도872 판결

    [1] 저작권법 제2조의 유형물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므로 컴퓨터의 하드디스크가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지만, 하드디스크에 전자적으로 저장하는 MPEG-1 Audio Layer-3 (MP3) 파일을 일컬어 유형물이라고는 할 수 없으므로, 음악 CD로부터 변환한 MP3 파일을 Peer-To-Peer(P2P) 방식으로 전송받아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7. 1. 25. 선고 2005다11626 판결

    [1] 저작권법이 보호하는 복제권의 침해를 방조하는 행위란 타인의 복제권 침해를 용이하게 해주는 직접·간접의 모든 행위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복제권 침해행위를 미필적으로만 인식하는 방조도 가능함은 물론 과실에 의한 방조도 가능하다고 할 것인바, 과실에 의한 방조의 경우에 있어 과실의 내용은 복제권 침해행위에 도움을 주지 않아야 할 주의의무가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6. 4. 28. 선고 2003도80 판결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2. 6. 26. 선고 90헌가23 전원재판부〔한정위헌〕

    1. 정기간행물(定期刊行物)의등록(登錄)등에관한법률(法律) 제7조 제1항은 정기간행물(定期刊行物)의 발행인(發行人)들에 의한 무책임한 정기간행물의 난립을 방지함으로써 언론(言論)·출판(出版)의 공적(公的) 기능(機能)과 언론(言論)의 건전(健全)한 발전을 도모할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규정(法律規定)으로서, 헌법상(憲法上) 금지(禁止)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02. 6. 27. 선고 99헌마480 전원재판부

    가.표현의 자유를 규제하는 입법에 있어서 명확성의 원칙은 특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무엇이 금지되는 표현인지가 불명확한 경우에, 자신이 행하고자 하는 표현이 규제의 대상이 아니라는 확신이 없는 기본권주체는 대체로 규제를 받을 것을 우려해서 표현행위를 스스로 억제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표현의 자유를 규제하는 법률은 규제되는 표현의

    자세히 보기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070-001353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