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96~97년간에 이루어진 科學史 分野의 성과
Ⅲ. 歷史一般(history)과 연관한 科學史(history of science)의 위치
Ⅳ. 한국에서의 科學史의 現在的 한계
Ⅴ.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科學史
역사학보
2004 .09
科學史, 2000-2001
역사학보
2002 .09
科學史
역사학보
1996 .12
科學史
역사학보
1999 .09
조선시대 科學史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사 시민강좌
1995 .02
中國醫學史속 에 보이는 醫學論
의사학
2004 .06
朝鮮後期 科學史 硏究의 쟁점과 과제
역사학보
2006 .09
19세기 한문역사교재 蒙學史要에 대한 고찰
동방한문학
2020 .01
니덤의 韓國科學史 연구
한국사 시민강좌
1995 .02
趙芝薰의 民俗學 硏究와 그 學史的 意義
한국민속학
1996 .12
科學史
역사학보
2000 .09
나의 朝鮮西學史 연구와 歷史敎育
韓國史學史學報
2000 .01
춤추면서 꿈꾸는 무한 저항체로서의 예술 : 김문환, 『비판이론의 예술 이해』(이학사, 2016)
철학과 현실
2017 .06
韓國書誌目錄學史의 一硏究 : 朝鮮朝의 四部分類法考
성곡논총
1976 .09
李元淳 《韓國天主敎會史硏究》, 서울, 한국교회사연구소, 1986, 468쪽 / 《朝鮮西學史硏究》, 서울, 일지사, 1986, 532쪽
역사교육
1987 .06
조선후기 경학사(經學史)에서 맹자해석(孟子解釋)의 창의성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이동철교수의 「조선후기 經學史에서 孟子解釋의 창의성」을 읽고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關學」、「關學史」正名
철학논총
2017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