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강진웅 (고려대)
저널정보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아연구 아세아연구 통권 152호
발행연도
2013.6
수록면
260 - 292 (3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nalyzes contemporary North Korean women’s identity politics from the period of socialist revolution to the economic crisis and their defections and resettlement in South Korea from a long-term approach.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North Korea’s subaltern women whom the communist regime utilized as an instrument for its rule and viewed as passive subjects for state power. However, North Korean women have been dynamic actors who challenge the patriarchal social order and actively participate in South Korea’s governance through the mechanism of critical negotiation. As postcolonial feminists argue, subaltern women do not necessarily exist as victims otherized by a dichotomy between the West/men and the East/women. Based upon postcolonial feminists’ perspective, this paper explores the dynamic identity politics of North Korean women who evolved from passive subjects for socialist revolution to active subjects for economic maintenance and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South Korea’s gender politics for their new lives.

목차

I. 들어가며
II. 이론적 배경: 하위주체로서의 여성과 이산적 정체성
III. 연구방법
IV. 경제난과 탈북, 북한 여성들의 정체성의 변화
V. 한국정착과 탈북 여성들의 정체성 분화
VI. 나오며
참고문헌

참고문헌 (6)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900-003230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