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용수 (국립농업과학원) 이명렬 (농촌진흥청) 심하식 (농촌진흥청) 김혜경 (농촌진흥청) 변규호 (농촌진흥청) 윤미영 (농촌진흥청) 강아랑 (농촌진흥청) 트란 반 또안 (농촌진흥청) 홍인표 (농촌진흥청) 우순옥 (농촌진흥청)
저널정보
한국양봉학회 Journal of Apiculture Journal of Apiculture Vol.29 No.4
발행연도
2014.11
수록면
327 - 332 (6page)
DOI
10.17519/apiculture.2014.11.29.4.327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세계적으로 꿀벌봉군붕괴현상인 Colony Collapse Disorder(CCD)를 야기하는 원인으로 꿀벌응애류도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꿀벌응애류는 국내에서는 두 종(V. destructor와 T. clareae)이 주요하게 증식 및 확산되고 있다. 꿀벌의 두 종의 응애류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외부형질 특성을 확인하고 비교한 결과 두 종이 가지고 있는 외형적인 차이로 인한 주요 서식장소 및 환경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7~9월 3달 동안 봉군별 꿀벌응애(V. destructor)와 중국가시응애(T. clareae)의 개체수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한 결과, 바로아응애가 대발생되면 중국가시응애(T. clareae)는 확연하게 개체 수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경쟁적 관계는 비슷한 서식환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꿀벌응애(V. destructor)와 중국가시응애(T. clareae) 두 종에 대한 봉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두 종의 방제 시 외부기 생성이 뛰어난 꿀벌응애(V. destructor)를 방제하는 시기와 중국가시응애(T. clareae)를 방제하기 위한 약제의 사용시기 및 방법의 조절에 따른 방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참고문헌 (19)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