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는 말
2. 양한 금곡과 상화가의 표현형식에 대한 비교분석
3. 금곡과 상화가의 사상내용에 대한 비교분석
3. 나가는 말
參考文獻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琴曲 <怨曠思惟歌>의 주제와 동한 왕소군 고사 탄생과 유행의 시대적 의미
동아시아고대학
2021 .09
琴曲을 통해 본 이민족에 대한 漢人의 집단기억과 정치이상
중국학
2023 .03
조선시대 사대부 음악으로서의 금가(琴歌), 그 개념과 유형
한국문학논총
2024 .08
[빛으로 색으로-1회] 화가들은 왜 밖으로 나갔을까?
월간에세이
2023 .11
향목(香木)과 와카(和歌)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9 .04
중봉당 혜호(中峰堂 慧皓)의 작품과 화맥연구
禪文化硏究
2021 .01
強秦、暴秦、亡秦——論漢賦裡的秦
국제언어문학
2022 .12
아쿠타가와(芥川竜之介) 소고찰-사랑과 노래(和歌)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9 .11
平安時代の和歌における「菊の露」について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빛으로 색으로] 색의 독립성을 가져온 화가
월간에세이
2023 .12
秦 · 漢 帝國의 기층 國家祭祀 운영 구조
역사교육
2019 .09
『源氏物語』の韓国語訳の比較検討―2010年以降を中心に―
日本學硏究
2022 .09
秦漢 遷律의 성립과 폐지
중국사연구
2022 .12
조선 후기 분황행례(焚黃行禮)와 분황교지(焚黃敎旨)
민속학연구
2017 .06
17~19세기 한국화가의 중국도시 인식과 그 표현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秦漢 帝國의 의의와 유산
역사학연구
2016 .05
≪說文解字≫ 正篆과 引用文 讀若字의 관계 探析
중국어문학
2020 .01
秦汉度量衡的大一统与社会互动
중국사연구
2020 .01
秦 · 漢시기의 官吏의 休假
역사와 담론
2017 .10
화가 나난 : 한결같은 사랑과 성실함으로 만개한 그림들
PAPER
2020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