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임대주택의 구조방식이 벽식구조에서 라멘구조로 변화하는 시점에서 서울시 임대주택의 필로티 공간계획의 주안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임대주택의 현황을 분석하고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7개 단 지 28개동에 대해서 물리적, 공간적, 환경적 분석 및 사용자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벽식구조 필로티 공간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라멘구조로 전환시에 계획의 주안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필로티 공간의 유효면적 증 가와 쾌적성 향상에 따른 공간 활용의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한 계획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필로티 공간의 특성상 다양한 기능이 복합되는 경우 기능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여 간섭과 충돌을 최소화하고 기능이 불명확한 공간으로 방치되지 않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셋째, 실내공간으로 전용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외부공간이 부족한 임대주택에서 필로티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며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이를 고려한 구조체 배치 등의 계획적 접근이 요구된다. 넷째,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필로티 공간과 외부공간과의 시각적 연결관계를 고려해서 필로티 공간이 외부로부터 고립되지 않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pilotis spaces of the public apartment housing and to suggest the future planning means of the spaces. At the present time, most of the pilotis space has been constructed in wall-bearing method. However, post and beam method(or Rahmen) will be used due to the municipal public-housing policy. Observation of seven(7) different locations and twenty-eight(28) blocks, and interview with the residents were employed to gather the data. Regarding functional relevance, six types of the space were selected, and planning suggestions for each type were followed. Among others, the conclusions include: the pilotis space should be planned as an interior for the future, as well as it should be open enough to secure the view from the surrou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