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06개 국가 간 통계자료를 사용해 인구구조의 변화와 교육투자의 효율성 간의 관계를 검토했다. 선행연구에 기초해 전체인구 대비 청소년층 인구비율과 교육투자의 효율성과 간에는 음(-)의 관계가 존재하는 반면, 노인층 인구비율과 교육투자의 효율성 간에는 양(+)의 관계가 존재한다는 가설을 설정했다. 실증분석 결과 이상의 가 설은 표본이나 모형의 선택에 상관없이 성립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 해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우리나라와 같은 국가의 경우 보다 교육비지출이 효율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교육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age structure of population and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nvestment, using cross-section of 106 countries. Based on the existing theoretical arguments, we establish a hypothesi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structure and education investment efficiency. The regression results suggest that a country's with a higher ratio of young age to total population results in a lower level of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nvestment. However, there exists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old age to total population and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nvestment. Therefore, it does suggest that countries experiencing reducing in fertility rate and increasing in expected longevity, such as Korea, not only should be maximized the education efficiency but also contrived for the institutional system for maximization the efficiency of education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