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도구로서의 스포츠와 목적으로서의 스포츠
Ⅲ. 평창 동계올림픽의 정치적 의제들
Ⅳ. 평창 동계올림픽과 올림픽 평화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남북한 스포츠 교류 결정 요인 연구: 1964년 도쿄, 2018년 평창, 2032년 서울·평양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020 .04
올림픽의 남북한 공동 개최: 신화와 현실
정치정보연구
2019 .10
한반도 평화와 스포츠: 평창 동계올림픽과 남북 스포츠 교류를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2018 .01
메가이벤트의 공유가치창출(CSV), 개최지 이미지, 방문의도의 구조적 관계: 강원도 평창 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도시연구
2019 .06
모두를 위한 미래? : 2018 평창동계올림픽과 국가의 문화적 발현
문화와 정치
2018 .12
평창 동계 올림픽 관련 시민 인식 조사
미디어이슈
2018 .01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Olympics on Politics: National Legacies Defined Through Sport
관광경영연구
2018 .01
성공적인 동계올림픽 개최를 위한 평창 발전방안 제시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04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얻어야 할 교훈
한국관광정책
2018 .03
[평창 동계올림픽과 남북관계 개선이 강원경제에 미치는 영향]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한 강원도 관광의 공유가치창출 (Creating shared value)
[BOK] 지역경제보고서
2018 .11
2018 평창동계 올림픽 빙상경기 개최도시 강릉의 빙상경기장의 지리적 분포분석과 활용제고방안
경관과 지리
2019 .01
The Study on Tourist Demand Forecasting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호텔리조트연구
2015 .01
"하계올림픽" 서울-평양 공동 개최 방안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2020 .12
내용분석을 통한 2018 평창문화올림픽의 의미와 시사점 고찰
관광연구저널
2019 .09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표출된 문화정체성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23 .06
핑퐁외교에의 재방문 : 평창 동계올림픽에의 함의
국제지역연구
2017 .10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참여의향 분석
관광연구
2017 .02
평창 동계올림픽과 지상파방송의 역할
방송문화
2017 .12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북한 올림픽 응원단의 노블티와 올림픽 인게이지먼트의 영향: 국내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미디어
2019 .08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남북관계 전망과 경기도의 과제
이슈&진단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