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머리말
Ⅰ. 예고된 범람과 대홍수 직전 용산 일대 피해 실태
Ⅱ. 이촌동 주민들의 제방 축조 청원과 대홍수의 피해
Ⅲ. 일제의 差別的 救濟 및 歪曲宣傳과 조선인 언론 탄압
Ⅳ. 일제의 이촌동 개발 계획과 조선인 빈민 축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제강점기 빈민 주거 문제에 있어서 광주의 조선인 지도층 대처에 관한 연구 - 광주 갱생지구의 조성과 운영 과정을 중심으로
도시연구
2019 .10
종교적 `공공성`의 개념과 의미 고찰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06
경복궁서측 지역 도시재생사업의 성과와 보완책
열상고전연구
2016 .06
홍수 외 1편
시조시학
2018 .12
홍수설화의 서사적 변주와 인식의 전환 ―동아시아의 경계를 넘어 <설국열차>까지―
日本學硏究
2018 .01
공공성(公共性)의 우리말 뜻 매김
동서철학연구
2020 .01
종교 공공성의 담론과 의제 : 신앙, 성물과 성지
대순사상논총
2022 .12
‘토라적 공공성’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아모스 선지자의 공공담론 : 아모스 2장 6-7절의 재해석
구약논단
2016 .03
전후(戰後) 대만 문단의 연속과 단절 - 뤼허뤄呂赫若의 「月光光」 「冬夜」를 중심으로
인문연구
2021 .12
日本の少子化対策への再考
일본어문학
2016 .01
종교의 공공성과 시대정신 : 근대 한국 신종교의 공공성이 지닌 종교 윤리적 의미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8 .06
해방 이후 김동인의 소설과 친일 청산을 위한 자기합리화
철학∙사상∙문화
2019 .01
성북의 문학 지리 - 일제 강점기 돈암동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2024 .12
공주 홍길동 관련 전승자료의 성격과 의미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8 .11
고려 元宗·忠烈王대의 親朝외교
한국사연구
2017 .06
공공철학과 기독교의 공공성
복음과 실천
2015 .09
매체에 기고된 유근(柳瑾,1861~1921)의 한시연구
이화어문논집
2019 .01
조선 시대 동중서(董仲舒)의 이미지 형성 양상
동아인문학
2016 .12
디지털 시민성과 교양교육의 공공성
철학연구회 학술발표논문집
2023 .12
대산 이상정의 경(敬)사상 고찰
한국사상사학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