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행정심판의 법제도적 측면에서의 검토
Ⅲ. 지방자치법제 측면에서의 검토
Ⅳ. 현행 법제상 재결에 대한 피청구인인 행정청의 불복가능성
Ⅴ.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4. 2. 27. 선고 2012두22980 판결
[1] 구 건축법(2011. 5. 30. 법률 제1075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9조 제1항, 제2항, 제11조 제1항 등의 규정 내용에 의하면, 건축협의의 실질은 지방자치단체 등에 대한 건축허가와 다르지 않으므로, 지방자치단체 등이 건축물을 건축하려는 경우 등에는 미리 건축물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허가권자인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건축협의를 하지 않으면,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4. 6. 26. 선고 2013헌바122 전원재판부
가. 공권력의 행사자인 국가, 지방자치단체나 그 기관 또는 국가조직의 일부나 공법인은 기본권의 주체가 아니라 단지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 내지 실현해야 할 책임과 의무를 지는 지위에 있을 뿐이므로, 지방자치단체의 장인 이 사건 청구인은 기본권의 주체가 될 수 없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0. 6. 1. 선고 98헌바8 전원재판부
가. 헌법 제107조 제3항은 "재판의 전심절차로서 행정심판을 할 수 있다. 행정심판의 절차는 법률로 정하되, 사법절차가 준용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입법자가 행정심판을 전심절차가 아니라 종심절차로 규정함으로써 정식재판의 기회를 배제하거나, 어떤 행정심판을 필요적 전심절차로 규정하면서도 그 절차에 사법절차가 준용되지 않는다면 이는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7. 25. 선고 2011두1214 판결
甲이 국민권익위원회에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국민권익위원회법’이라 한다)에 따른 신고와 신분보장조치를 요구하였고, 국민권익위원회가 甲의 소속기관 장인 乙 시·도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에게 `甲에 대한 중징계요구를 취소하고 향후 신고로 인한 신분상 불이익처분 및 근무조건상의 차별을 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내용의 조치요구를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7. 12. 23. 선고 96누10911 판결
[1] 이른바 복효적 행정행위, 특히 제3자효를 수반하는 행정행위에 대한 행정심판청구에 있어서 그 청구를 인용하는 내용의 재결로 인하여 비로소 권리이익을 침해받게 되는 자는 그 인용재결에 대하여 다툴 필요가 있고, 그 인용재결은 원처분과 내용을 달리하는 것이므로 그 인용재결의 취소를 구하는 것은 원처분에는 없는 재결에 고유한 하자를 주장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8. 5. 29. 선고 2005헌라3 전원재판부
가. 감사원법은 지방자치단체의 위임사무나 자치사무의 구별 없이 합법성 감사뿐만 아니라 합목적성 감사도 허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감사원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이 사건 감사는 법률상 권한 없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3. 9. 28. 선고 92누15093 판결
가. 행정심판법 제37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면 재결은 행정청을 기속하는 효력을 가지므로 재결청이 취소심판의 청구가 이유 있다고 인정하여 처분청에게 처분의 취소를 명하면 처분청으로서는 그 재결의 취지에 따라 처분을 취소하여야 하지만, 그렇다고 하여 그 재결의 취지에 따른 취소처분이 위법할 경우 그 취소처분의 상대방이 이를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行政審判의 기능과 審判機關의 구성 : ‘行政審判의 司法化’에 대한 異議
행정법연구
2015 .07
행정심판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행정법연구
2015 .11
행정심판제도의 기능과 책임성 강화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
2020 .01
토지 부문의 행정심판 통합 - 중앙행정심판위원회와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행정심판 통합 문제를 중심으로 -
법조
2024 .02
행정심판과 재결취소소송의 관계
연세법학
2020 .01
행정심판제도에 대한 재조명과 규범통제의 필요성에 대한 시론
공법연구
2018 .12
몽골 행정심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북아법연구
2018 .01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강화를 위한 행정심판법 개정방향
지방자치법연구
2017 .01
행정심판제도의 헌법상 의의 ― 헌법 제107조 제3항의 해석과 행정재판권의 이해를 중심으로 ―
공법연구
2018 .10
행정사(行政士)의 행정심판 대리에 관한 법적 검토
토지공법연구
2024 .08
영국 행정심판 통합사례에 관한 연구
공법학연구
2018 .02
행정심판의 헌법상 근거 : 헌법 제107조 제3항의 해석을 중심으로
행정법연구
2016 .02
개별법상 이의신청제도의 현황분석과 입법적 개선과제 : 이의신청 등과 행정심판의 관계정립을 중심으로
행정법연구
2015 .07
행정심판법 제49조 제1항의 입법개정론
경희법학
2019 .01
행정심판에서의 조정제도 현황과 활성화 방안
인권과 정의
2022 .06
행정심판 전치주의의 예외에 대한 고찰 - 동종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2022 .02
행정심판의 재결에 대한 행정소송 : 원처분주의를 중심으로
강원법학
2015 .02
「행정기본법」의 이의신청에 대한 검토
법제
2022 .06
「행정심판법」 상 취소심판의 쟁송물
한양법학
2018 .08
행정심판제도의 본질
서강법률논총
2021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