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동향자료
저자정보
강태수 서현덕 김경훈 강은정
저널정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P] 오늘의 세계경제 오늘의 세계경제 제18권 제38호
발행연도
2018.11
수록면
0 - 0 (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 지난 5월 8일 제롬 파월(Jerome Powell) 美 연준 의장 연설을 계기로 신흥국 자본유출입 결정요인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점화되고 있어 관련 논의의 재점검 필요 - 파월 의장은 과거 신흥국으로의 자본유입은 미 연준 기준금리 인하 전부터 시작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대외요인(push factor)보다는 대내요인(pull factor)이 신흥국 자본흐름 결정요소임을 시사 - 하지만 대다수 선행연구는 대외요인(push factor)이 신흥국 자본흐름에 영향을 미쳤음을 지적 ▶ 본 보고서 분석(47개 국가 패널 활용)에 따르면 선진국은 대내외 요인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정요소*이지만 신흥국의 경우 대외요인이 주요 결정변수로 나타남. * 대외요인 변수: VIX, 상품가격지수, 미국 금리, 선진국 GDP 성장률 활용 * 대내요인 변수: 개별국 단기금리, 개별국 GDP 성장률 활용 ▶ 美 금리 인상 충격으로 우리나라 금융시장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겠지만 자본유출입 측면에서는 내국인 해외투자자금 국내환류가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을 상쇄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남. * 시변 벡터자기회귀(Time-Varying Parameter Vector Autoregression) 모형 활용 ▶ 다음 세 가지를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함. ① 내국인 해외투자의 경우 위기 상황에서 외화유동성 안전망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정책활용도가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기대 - 경상수지 흑자가 국내에 머물기보다 내국인의 해외자산투자로 이어지면 원화 강세 압력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금융불안 상황 발생 시 국내로 환류되어 외화유동성 위기 발생을 억제하는 순기능 기대 ② 자본흐름 패턴이 과거와 다른 새로운 구조로 변화한바 통화정책도 이러한 흐름을 감안할 필요 - 그동안 내외금리차 확대는 곧바로 자본유출로 이어진다는 우려가 컸으나 2014년 이후 「내국인 해외 증권투자자산 > 외국인 국내증권투자자산」 구조 정착 및 내국인 해외투자자금의 환류 가능성 상승 등으로 「내외금리차 확대 → 자본유출 증가」 리스크가 과거보다 줄어든 것으로 기대 ③ 美 금리 인상이 주변국에 끼치는 경제적 외부효과(externality: 자본유출 리스크 등)의 부작용을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IMF 연차총회, BIS 중앙은행 총재회의 등을 통해 꾸준히 제기할 필요 - 파월 의장의 주장은 美 금리 인상 충격이 부작용을 초래하더라도 이를 미국 때문이라고 비판하지 말고 신흥국이 자체적으로 대응하라는 뜻으로 해석됨. - 하지만 미국 금리가 시차를 두고 신흥국 자본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파월 의장의 주장(“신흥국으로의 대규모 자본유입은 미 연준 기준금리 인하 전부터 시작”)에 대해 재평가가 필요함을 시사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