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 수학교육 제47권 제1호
발행연도
2008.1
수록면
11 - 25 (1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characteristics of the pseudo-conceptual or the pseudo-analytic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level(i.e. advanced group, proficient group, basic group, and below-basic group) in grade 9 are as follows. The pseudo-conceptual or pseudo-analytical behaviors to get credit from teachers become conspicuous in lower achievement level. The high achieving students showed more pseudo-conceptual or pseudo-analytical behaviors without undergoing the process of reflection or control. The proficient group was short of control in computation, and the advanced group didn't control well in representation. The proficient group tended to depend on a past successful algorithm and behave habitually. Therefore, it is needed to teach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pseudo-conceptual or pseudo-analytic behaviors shown in each achievement level.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