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우리는 얼마나 자유로운 사회에서 살고 있는가?
21세기 정보전쟁은 민주주의 신념 위협
자연스럽게 탈진실 시대를 받아들이는 세태 어떻게 봐야 할까?
탈진실은 포스트모던 사상 영향 받아
뉴스와 정보 소비자들이 정화작업에 참여할 때
토론 · 교화 통해 뉴스 소비자 자각 이끄는 리터러시 교육 중요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반쪽 공론장과 진실의 위기
관훈저널
2024 .06
디지털 시대 공론장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주간경향
2025 .02
환경교육에서 공론장의 의의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06
[북리뷰《내러티브 뉴스》] “진실이 내러티브에 맞지 않을 때 뉴스는 진실을 버린다”
신문과방송
2023 .05
2016-17년의 광화문 광장 : 유교 공론장에서 시민 공론장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2018 .06
우리 사회의 공론화: 현재의 위치와 나아갈 방향은? - 신고리 5ㆍ6호기 공론화 및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KDI] KDI FOCUS
2021 .08
한국 인터넷 언론 공론장의 양면성: 공론장의 재강화와 약화의 갈림길
시민사회와 NGO
2021 .01
위협받는 공론장, 기자는 책임이 없나?
관훈저널
2024 .12
미디어 공공성과 건강한 공론장의 재구축을 위한 성찰
방송문화
2019 .09
과학장이 공론장을 만났을 때 : 과학장의 공론장 수용의 타당성과 그 성과
사회와이론
2016 .05
탈진실 시대에 팩트를 논하다
KISO 저널
2019 .09
저널리즘, 공론장으로써 언론의 역할과 한계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0 .11
디지털시대에 방송의 사회통합적 역할: 디지털 미디어 다양성에 따른 공론장 위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04
이해관계자 참여 공간으로서 지속가능발전 공론장의 쟁점과 과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지속가능발전 이행계획 수립 과정을 사례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023 .04
공공선택에서 공론화의 역할 및 효과 연구
[KDI] 연구보고서
2020 .12
[EDITOR’s LETTER] 건설적 토론 사라진 한국의 공론장
한경BUSINESS
2024 .03
우리 사회의 공론장 방송저널리즘, 그 정수를 봅니다
방송기자상 수상집
2021 .08
숙의민주주의와 공론조사의 딜레마: 신고리 5·6호기 건설재개 공론화와 부산BRT시민공론화 사례의 비교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9 .05
Continue a search for a common set of accepted verified facts
신문과방송
2020 .09
언론은 어떻게 진실에 도달하는가_객관성은 진실 추구를 위한 수단… 끊임없이 검증하는 ‘진실한 취재’ 수행해야
신문과방송
2020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