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조철희 (경기 군포소방서) 이동원 (경남 의령소방서) 김홍필 (소방청)
저널정보
한국위험물학회 한국위험물학회지 한국위험물학회지 제8권 제1호
발행연도
2020.6
수록면
54 - 59 (6page)
DOI
10.31333/kihm.2020.8.1.54

이용수

DBpia Top 1%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analysis of causes for the chemical accidents, in National 119 Rescue Headquarters(NRHQ)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acids (e.g. HCl, HNO3, H2SO4, HF, etc) in five years. One of the ways to response to acidic accident, neutralization, is a method of removing and treating hazardous substances by converting acidic chemicals into salt and water with low cost and effort. However, due to the instantaneous heat generated during the quenching process of the acid & base neutralizer of the liquid-state accident material, harmful gas is diffused into the atmosphere, which can not guarantee the safety of the neighborhood as well as the safety of the firefighter. In this study, the hazards of calcium hydroxide(Ca(OH)2) and sodium hydroxide(NaOH), which are used as base neutralizers, were identified by replay experiments. The result of excellent neutralization of acidic chemicals (e.g. neutralization, economics, health risk, effectiveness) of the new base neutralizing agent “sodium bicarbonate(NaHCO3)” was obtaine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430-000887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