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행정질서벌의 일반적 논의
Ⅲ. 행정질서벌의 법제도적 개선방안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헌법재판소 2009. 3. 26. 선고 2007헌가22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심판대상은 이 사건 구법 조항의 위헌 여부이지만, 이 사건 신법 조항의 경우에도 과태료의 기준 및 액수(`제공받은 금액 또는 음식물·물품 가액의 50배에 상당하는 금액’) 등 이 사건에서 위헌성이 문제된 부분에 있어서는 이 사건 구법 조항의 내용과 실질적인 차이가 없는바, 그렇다면 이 사건 신법 조항 또한 그 위헌 여부에 관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9. 6. 13. 선고 88도1983 판결
가. 항소심이 항소이유에 포함되지 아니한 사유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자판한 때에는 항소이유의 당부에 관하여 따로 설시하지 않더라도 그에 대한 판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8. 5. 28. 선고 96헌바83 전원재판부
가. 죄형법정주의는 무엇이 범죄이며 그에 대한 형벌이 어떠한 것인가는 국민의 대표로 구성된 입법부가 제정한 법률로써 정하여야 한다는 원칙인데,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 제11조 제1항 본문 중 제2조 제1항에 관한 부분이 정하고 있는 과태료는 행정상의 질서유지를 위한 행정질서벌에 해당할 뿐 형벌이라고 할 수 없어 죄형법정주의의 규율대상에 해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4. 4. 28. 선고 91헌바14 전원재판부〔합헌 · 각하〕
가. 헌법소원심판의 전제가 된 당해 사건의 항소심(抗訴審)절차에서 위헌 여부의 심판제청신청이 기각되었는데도 이에 대하여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지 아니하고 있다가, 또다시 같은 항소심(抗訴審)절차에서 같은 법률조항(法律條項)에 관하여 동일한 사유를 이유로 위헌 여부의 심판제청을 하고 그것이 기각되자 헌법소원심판청구를 한 경우, 이는 헌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0. 8. 24.자 2000마1350 결정
과태료의 제재는 범죄에 대한 형벌이 아니므로 그 성질상 처음부터 공소시효(형사소송법 제249조)나 형의 시효(형법 제78조)에 상당하는 것은 있을 수 없고, 이에 상당하는 규정도 없으므로 일단 한번 과태료에 처해질 위반행위를 한 자는 그 처벌을 면할 수 없는 것이며, 예산회계법 제96조 제1항은 "금전의 급부를 목적으로 하는 국가의 권리로서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4. 8. 26. 선고 94누6949 판결
과태료와 같은 행정질서벌은 행정질서유지를 위하여 행정법규위반이라는 객관적 사실에 대하여 과하는 제재이므로 반드시 현실적인 행위자가 아니라도 법령상 책임자로 규정된 자에게 부과되고 또한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위반자의 고의·과실을 요하지 아니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8. 4. 10. 선고 98두2270 판결
자동차운수사업면허조건 등을 위반한 사업자에 대하여 행정청이 행정제재수단으로 사업 정지를 명할 것인지, 과징금을 부과할 것인지, 과징금을 부과키로 한다면 그 금액은 얼마로 할 것인지에 관하여 재량권이 부여되었다 할 것이므로 과징금부과처분이 법이 정한 한도액을 초과하여 위법할 경우 법원으로서는 그 전부를 취소할 수밖에 없고, 그 한도액을 초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2. 2. 11. 선고 91도2536 판결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1호에 의하면 확정판결이 있는 때에는 판결로써 면소의 선고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바, 이는 확정판결의 일사부재리의 효력에 기하여 동일성이 인정되는 범죄사실에 대한 재소를 금지하는 데에 그 취지가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 말하는 확정판결에는 정식재판에서 선고된 유죄판결과 무죄의 판결 및 면소의 판결뿐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행정질서벌의 체계에 관한 소고
공법연구
2018 .02
현행 과태료 제도의 문제점과 합리적 정비방안 : 영국에서의 관련 제도운영을 참고하여
공법학연구
2018 .08
행정질서벌의 체계 및 법정책적 개선방안
법과 정책연구
2019 .01
행정형벌의 행정질서벌화 경향에 대한 소고 - 행정형벌의 비범죄화·비형벌화를 중심으로 -
한국범죄심리연구
2015 .01
입법환경 변화에 따른 행정질서벌 법제의 발전을 위한 소고
공법연구
2023 .06
행정형벌의 입법재량성과 그 한계에 대한 고찰
법학논총
2023 .01
행정법상에 있어 법집행 시스템의 체계적 구축에 관한 연구
공법학연구
2019 .08
프랑스법상 행정제재에 관한 연구
행정법연구
2022 .11
세법상 행정질서벌과 조세형벌의 중복적용 여부와 그 위헌성- 부당과소신고 및 세금계산서 관련 제재를 중심으로 -
법조
2019 .01
행정제재에 관한 법제 개선 방안 - 벌칙 중심 규제의 개혁을 위한 시론 -
홍익법학
2022 .12
행정기본법 제정안의 평가와 주요쟁점 검토
공법학연구
2020 .11
수사절차와 관련된 행정조사의 통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016 .01
행정법상 처분 개념 - 성문 개념 규정과 대법원 판례에 대한 비판 -
공법연구
2024 .12
독일의 행정제재제도에 관한 연구 - 과태료(Bußgeld)를 중심으로 -
행정법연구
2022 .11
일본에서의 행정규칙의 법체계 정합성 및 합법성 확보실태와 법제도
법학논총
2016 .02
미국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특성과 절차법적 통제
미국헌법연구
2015 .12
소상공인 등 영업자 규제 차등화를 위한 행정형벌의 과태료 전환
법학논집
2022 .09
지능정보사회와 행정지도의 재해석
성균관법학
2019 .06
화학제품안전법 처벌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표시기준 위반을 중심으로 -
형사법의 신동향
2021 .12
행정용어를 통한 행정의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사회과학연구
2017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