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이루어진 기술교사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후속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도부터 발행된 기술교사 관련 국내 학술지 147편을 분석대상으로 발행 연도,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자별 특성을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주제 및 내용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주제분석법을 활용한 질적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기술교사 관련 논문은 2005년 이후로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5년 단위로 40여 편 이상의 논문이 발행되었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 양적연구 방법이 92편(62.6%)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질적연구 방법이 24편(16.3%), 혼합연구 방법이 18편(12.3%), 문헌연구 방법이 13편(8.8%)으로 나타났다. 5년 단위로 연구방법별 발행 추이를 살펴보면 양적연구는 2000년도부터 꾸준히 연구되었으며, 질적연구는 2005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되어 5년 단위로 10편 이내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연구대상별로 살펴보면 중등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87편(59.2%), 중등 기술 예비교사 18편(12.2%), 초등실과교사 16편(10.9%), 초등 실과 예비교사 21편(14.3%), 발명교사 5편(3.4%)으로 나타났다. 연구자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 단독 연구는 59편(40.1%), 공동 2인 45편(30.6%), 공동 3인 이상은 43편(29.3%)으로 나타났으며, 주저자의 소속을 분석한 결과 대학교 90편(61.2%), 중학교가 29편(19.8%), 고등학교가 14편(9.5%), 연구기관 9편(6.1%), 초등학교가 5편(3.4%)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분석법을 활용한 연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주제 5개 영역, 중주제 20개 영역, 소주제 112개의 내용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대주제 영역으로 교사교육, 교육과정, 교사 일반, 기술 수업, 정책 및 제도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추후 기술교사에 대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of technology teacher related research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147 journals related to technology teachers published after 2000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for the year of publication, methods, subjects(targets), and researcher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opics and contents in depth.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s: 1) The number of technology teachers related papers began to increase since 2005 and over 40 papers were published on a five-year basis. 2) Regarding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method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with 92(62.6%), followed by qualitative methods with 24(16.3%), mixed methods with 18(12.3), and literature based research with 13 (8.8%). 3)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steadily studies since 2000. And qualitative research has begun since 2005 and less than 10 papers have been published on a five-year basis. 4) Study subjects were secondary school technology in-service teachers(59.2%), elementary school in-service teachers(14.3%), secondary school technology pre-service teachers(12.2%),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10.9%). 5) There were one author paper(40.1%), two authors(30.6%), and over 3 authors(29.3%) regarding the number of the author. And the affiliated institutes of the authors were university(61.2%), middle school(19.8%), high school(9.5%), research institute(6.1%), elementary school(3.4%). The qualitativ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research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5 major topics, 20 specific subjets, and 112 detailed subjects were derived. The mjaor subjects wer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eacher general, technology class, policy and system.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further research on technology teachers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