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세환 (국민대학교) 김동환 (국민대학교) 이상엽 (국민대학교) 신재곤 (한국교통안전공단) 조성우 (한국교통안전공단) 문병준 (한국교통안전공단) 박기홍 (국민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자동차공학회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제29권 제5호
발행연도
2021.5
수록면
437 - 449 (13page)
DOI
10.7467/KSAE.2021.29.5.43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V2X-based cooperative autonomous driving system can solve the limitation that environmental sensors(e.g., radar and camera) have by using V2X communication technology. By receiving information from other vehicles, convoy driving can be made possible in urban areas with very narrow inter-vehicle intervals that conventional ACC cannot. In this paper, a study was conducted on a methodology for deriving scenarios for evaluating the functional safety of the V2V-based cooperative autonomous driving system in urban areas. To this end, a functional safety concept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ISO 26262 Part 3 process, and scenarios were derived based on its work products. Simulations were performed on the derived scenario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ology for developing functional safety evaluation scenarios proposed in this paper.

목차

Abstract
1. 서론
2. V2V 기반 도심자율협력주행 시스템의 기능안전 문제
3. 평가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기능안전개념분석
4. 대상 시스템의 기능안전 평가시나리오 개발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