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이범석의 항일투쟁을 묘사한 중국현대문학 작품에 대하여
3. 광복 후 이범석의 문예활동: 『靑山里喋血實記』 번역본과 『우둥불』 출판을 중심으로
4.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인의 항일투쟁과 현대 중국의 한국인 제재 시가 창작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1 .11
중국 현대 한인제재 작품 연구에서 한국적 관점 확립의 필요성 고찰 ― 無名氏와 李範奭의 문학적 관계 연구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지
2020 .01
중국 학계의 한국독립운동사 연구동향과 전망(2016~201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1 .02
중국 현대 韓人題材詩歌에 나타난 ‘抗日’과 ‘獨立’ 양상 硏究
세계문학비교연구
2017 .01
항일 무장 독립 투쟁사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과 교수 방향
역사교육
2020 .09
중국의 항일전쟁 승리 언설의 변화와 새로운 동향 - 중국의 항전연구 강화와 한중공조에의 함의 -
한중관계연구
2017 .01
항일전쟁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중국의 지원
한국학논집
2019 .12
중국·조선·한국 항일시가 비교연구 -최삼룡의 『항일시가집』을 중심으로
춘원연구학보
2022 .12
동아시아 현대문학 속의 한국 항일영웅 서사
아시아문화연구
2017 .12
대한민국 임시정부 류저우 시기 극예술 활동과 ‘한중연대’ 형상화 연구 - 단막극 「국경의 밤」 작가 필사본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3 .03
延薇堂의 생애와 독립운동
역사와 담론
2015 .01
나월환의 독립운동 역정과 피살 사건의 파장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5 .04
망명 문인 이두산의 문학사상과 창작특징에 대한 고찰
국어국문학
2020 .09
항일독립운동가 최병준의 삶과 활동
역사문화연구
2023 .05
1930년대 후반 동북항일연군의 활동과 在滿韓人 - 동북항일연군의 (한·중)민족연합적 성격 再論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3 .08
패전 직후의 일본의 사회문화상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후기작품을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8 .08
청산리전투에 관한 연구 성과와 과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0 .01
『고등학교 한국사』의 서술 분석 - 무장 독립운동의 개념과 이미지 자료의 활용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
2020 .12
항전시기 한국청년전지공작대의 항일예술활동
역사연구
2016 .06
일제 말기 한인 학병들의 중국지역 일본군 부대 탈출과 항일 투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6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