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신기동 (경기연구원) 김군수 (경기연구원) 문미성 (경기연구원) 성영조 (경기연구원) 이수행 (경기연구원) 김을식 (경기연구원) 김태영 (경기연구원) 이유진 (경기연구원) 황상연 (인천대학교) 박누리 (경기연구원) 송승현 (경기연구원) 유보배 (경기연구원)
저널정보
경기연구원 정책연구 [정책연구 2021-87] 코로나19의 지역경제 영향과 대응방안
발행연도
2021.11
수록면
1 - 286 (28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prolonged COVID-19 and the impact of the regional specificity of Gyeonggi-do, and suggesting meaningful policy responses at the level of the local economy.
It has been found that the prolonged COVID-19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contrast between opportunity groups and crisis groups more distinct and the gap in crisis recovery speed widening across all sectors of the industry and economy. The negative impact of the pandemic was concentrated on low-tech industri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face-to-face service sectors in the service sector. The negative impact of the pandemic was concentrated on low-tech industri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face-to-face service sectors in the service sector.
Aside from the impact of the prolonged COVID-19 on individual economic agents, some deviations and special aspects were also confirmed in the degree of collective impact of the pandemic identified in industrial clusters and sub-regional units in Gyeonggi-do. In particular, in central commercial areas such as downtown shopping malls and large traditional markets that are highly dependent on non-resident customers, the impact of social distancing and non-face-to-face consumption trends is concentrated, and the vacancy rate is rapidly increasing. Deviations of the pandemic impact can also be confirmed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of Gyeonggi-do. It was found that industrial production in the northern Gyeonggi region contracted more than that of the southern region, while the employment situation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was significantly worse.
The policy alternatives suggested by each regional economic sector were divided into ‘general policy alternatives vs. Long-term policy alternative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Crisis factor suppression policy vs. Opportunity factor utilization policies’ and ‘structural policy alternatives’ were categorized and presented. Among the types of policy alternatives, "structural policy alternatives" need to be set as a key strategic task at the Gyeonggi-do level and focus on government capabilities in that they are highly important policies in terms of the overall sustainability of the local economy.
As the pandemic continues, ‘with COVID-19’ is expected to maintain its status as a ‘new normal’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which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revise policies centered on growth strategies in preparation for ‘post-COVID-19’. At least in the short ter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portion of crisis factor suppression policies in response to ‘with COVID-19’ rather than policies to utilize opportunity factors in preparation for ‘post-COVID-19’.

목차

[표지]
[정책건의]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코로나19의 지역경제 영향과 정책대응 일반 동향]
1. 세계 각국의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과 정책대응 동향
2. 국내의 코로나19 경제위기 대응 정책동향
[제3장 코로나19 전후 지역경제의 구조적 변화 추이 분석]
1. 거시경제 지표의 변화 분석
2. 산업구조의 변화 분석
3. 소비시장의 변화 분석
4. 코로나19 이후 가계의 경제적 여건 변화 분석
5. 정책과제와 대응방안
[제4장 농업 부문의 코로나19 영향과 대응방안]
1. 국내외 일반 동향
2. 경기지역 농업 부문의 영향 및 대응책
3. 정책과제와 대응방안
[제5장 제조업 부문의 코로나19 영향과 대응방안]
1. 국내외 일반 동향
2. 경기지역 제조업 부문 영향 진단
3. 정책과제와 대응방안
[제6장 산업거점 부문의 코로나19 영향과 대응방안]
1. 국내외 일반 동향
2. 경기지역 산업거점 부문 영향 진단
3. 정책과제와 대응방안
[제7장 서비스업 부문의 코로나19 영향과 대응방안]
1. 국내외 일반 동향
2. 경기지역 서비스산업에 대한 영향 진단
3. 정책과제와 대응방안
[제8장 소상공인 부문의 코로나19 영향과 대응방안]
1. 국내외 일반 동향
2. 경기지역 소상공인 부문 영향 진단
3. 정책과제와 대응방안
[제9장 노동시장 부문의 코로나19 영향과 대응방안]
1. 국내외 일반 동향
2. 경기지역 노동시장 부문 영향 진단
3. 정책과제와 대응방안
[제10장 지역균형발전 부문의 코로나19 영향과 대응방안]
1. 경기 남・북부지역의 발전격차 현황
2. 경기지역 지역균형발전 부문 영향 진단
3. 정책과제와 대응방안
[제11장 산업・기술혁신 부문의 코로나19 영향과 대응방안]
1. 국내외 일반 동향
2. 경기지역 산업・기술혁신 부문 영향 진단
3. 정책과제와 대응방안
[제12장 요약 및 종합분석]
1. 연구내용 요약
2. 지역경제 영향의 특징 분석
3. 지역경제 정책대안의 특징 분석
[제13장 결론 및 정책제안]
1. 결론
2. 정책제안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309-000109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