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서론: 중국의 대한국 인식
II. 문헌검토: 한국과 중국의 상호 인식
III. 중국의 대한국 인식: 박정희 집권 이후 중국의 개혁개방 이전(1961-1979)
IV. 중국의 대한국 인식: 개혁개방(1979) 이후-현재
V. 결론: 중국의 박정희 정권에 대한 인식과 대한국 인식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박정희 정부의 정치적 재정지출 운용 분석: 박정희 경제성장 신화에 대한 하나의 비판적 연구
글로벌정치연구
2021 .12
보수주의자들의 저술에서 박정희는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 모순적 프레이밍의 정치동학과 박정희
현대정치연구
2021 .12
박정희경제학: 한국적 경제발전 이론과 정책
제도와 경제
2021 .11
1960년대 박정희 정부의 경제정책 : 한·미관계와 ‘가속적 성장’의 욕망
경제와사회
2023 .06
1962년 박정희의 통화개혁과 한국의 민족주의
현대정치연구
2020 .12
박정희 시대 민족주의적 통치성과 대항 담론 및 저항 주체
기억과 전망
2021 .12
1960년대 후반 1970년대 초 달러화의 위기와 박정희 정부의 대응:닉슨의 신경제정책과 박정희의 공업구조개편을 중심으로
비교경제연구
2022 .06
박정희 대통령의 개발철학과 담론 분석: 1964-1979년 박정희 대통령 신년연설문 텍스트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2020 .01
제7차 한일회담을 통해 본 한미 간 협력과 갈등: 1965년 방미 전 박정희의 역할구상과 미국의 역할규정
국제정치논총
2022 .09
박정희 시기 북방외교의 정치경제적 배경: 통치성 위기와 그 대응
한국동북아논총
2021 .03
박정희 정부의 차기전투기(F-X) 사업과 카터 행정부의 무기이전 정책
국제정치논총
2016 .03
박정희의 1970년 8.15 평화통일 구상 선언의 내적 배경
인문사회 21
2023 .06
박정희 정부시기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수정에 관한 연구 : 계획 합리성인가, 성장 숭배인가?
경제와사회
2019 .12
박정희의 민주주의관과 유신체제 정당화
한국동북아논총
2021 .06
고도경제성장기 사회복지의 제도화과정에 대한 정치적 해석 : 1960-70년대 박정희정권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15 .05
박정희 정권기 코미디영화를 통한 국민 명랑화 전략 : 텍스트의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2019 .01
박정희 정부시기 교육대학 개편과 지역사회의 대응: 공주교육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새마을학연구
2023 .06
유신 체제 말기의 한미 관계와 정치 위기: 부마민주항쟁과 동상이몽의 정치사회학
기억과 전망
2018 .01
1963년 한국 대통령 선거의 지형과 미국의 시각
인문사회 21
2022 .10
중국 국가이미지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 사이버대학교 중국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중사회과학연구
2022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