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금영 (서원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70호, 2023년
발행연도
2023.3
수록면
41 - 58 (18page)
DOI
10.7230/KOSCAS.2023.70.04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VR(Virtual Reality) 애니메이션은 가상현실 콘텐츠의 한 분야로, 전통적인 프레임 구조를 벗어난 탈 프레임의 삼차원 공간에 관객을 위치시킨다. 또한 VR 애니메이션 공간 속 캐릭터와 상호작용이 가능해 전통적인 애니메이션과는 다른 감상 방식을 요구한다. 지난 10여 년간은 VR 애니메이션의 실험단계로 사이버 멀미를 극복하고 스토리텔링을 VR이라는 매체에 맞게 실험해보는 단계였다면, 최근에 발표된 VR 애니메이션은 전통적인 애니메이션의 영상문법을 기반으로 VR만의 독자적인 영상문법 형태를 새롭게 갖추어 가고 있다. 영상연출 중 조명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영상의 주요한 부분이며, 이러한 조명의 기능이 영상 언어로 VR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VR 애니메이션계의 픽사로 불리는 바오밥 스튜디오가 2021년에 발표한 〈페이퍼버드〉(Paper Birds: Part I & II)는 인터렉티브한 라이팅을 활용한 연극적 연출 효과로 장면전환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 따라서 본고는 〈페이퍼 버드〉를 연구대상으로 라이팅의 시지각적 특성을 활용하여 VR의 공간적 제약, 즉 360도의 한정된 공간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공간에 묶여 자율성이 침해당할 수도 있는 제약을 극복하고 장면 연출을 다양화한 VR 애니메이션의 영상연출을 연구 분석했다.
〈페이퍼 버드〉는 전통적인 3D 애니메이션 라이팅의 주요 기능인 공간, 시간, 촉각, 암시 기능 등을 활용해 스토리에 기반한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요소를 잘 드러내고 있고, 관객의 시각적 몰입도 향상을 위해 핸드 트래킹(Hand Tracking)을 광원으로 활용했다. 또한, 특정한 대상에 시선이 집중되도록 감독이 원하는 대상에만 빛을 주는 등 연극 연출과 같은 효과를 주었다. 마지막으로 한 공간에 두 개의 다른 배경을 두고 라이트의 완급 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시선을 이동시켜 영상의 공간을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연출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가 특정한 한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함에 따라 VR 애니메이션의 조명을 활용한 영상연출의 보편적인 정의를 하는 것은 어려우나, 추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VR 콘텐츠 창작에 참고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페이퍼 버드〉라이팅 연출 사례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