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제1차공세의 성공적 전개와 모택동의 참전 목표 조정
Ⅲ. 소련공군의 조기 참전과 북중연합사령부 구성에서의 스탈린의 전략목표
Ⅳ. 모택동의 ‘일거삼득(一擧三得)’의 목표와 스탈린의 반대
Ⅴ. 모택동의 유엔 휴전안 거절의 배경, 이유 및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위기에서의 선택 — 한국전쟁에 대한 중국의 정책 결정 논평 —
중국근현대사연구
2022 .03
스탈린 외교를 바라보는 한 시각, 1927~1953
역사비평
2017 .11
중일전쟁시기 중국 공군인력 양성과 소련 — ‘이닝(伊寧)항공학교’를 중심으로 —
중국근현대사연구
2021 .12
한국전쟁 시기 ‘중국군’의 참전과 동원 유형 및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6 .12
한국전쟁 시기 중국인민지원군 · 연변(延邊) 조선인 사회의 ‘후방지원’ 활동과 북중 ‘혈맹’관계의 강화
동북아역사논총
2017 .09
소련-독일 전쟁과 냉전 - 군사-정치 지도자로서 스탈린의 역할 -
슬라브硏究
2022 .06
Troublesome Brotherhood: The Korean Volunteer Army and the CPC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0 .12
스탈린과 코민테른 제7차 대회의 기원
역사비평
2024 .11
냉전시기 중공의 외교노선과 북중관계의 전개
중국근현대사연구
2021 .09
중국과 소련의 핵 기술 개발 협력 재고, 1945~1960
대동문화연구
2017 .01
중화민국정부의 소련제소안 의결과 미국의 영향(1949-1952)
중국근현대사연구
2017 .09
Stalin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史叢(사총)
2015 .01
『訓蒙字會』의 訓에 실린 한자음 고찰
대동문화연구
2019 .01
한국전쟁기 미・중・소의 참전・개입과 역할
이화사학연구
2019 .01
中日戰爭時期 中國內 韓人武裝組織의 抗日戰略과 戰後構想 -言論動向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2019 .01
러시아의 국가폭력과 과거사 청산 노력
신학과 선교
2019 .01
냉전 시기 소련-북한의 비대칭동맹과 북한의 자주외교
슬라브硏究
2019 .01
중국근현대사 연구 50년의 성과와 과제
동양사학연구
2015 .12
한국전쟁기 조선인민군의 재편과 북한 · 중국 · 소련의 이견과 조율 : 국경 이동과 군단 창설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2018 .03
위기에서의 선택 — 한국전쟁 기간 정전담판에 관한 중국의 정책 결정 논평 —
중국근현대사연구
202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