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식민지 시기 정선 회화 담론의 전개
Ⅲ. 박물관 컬렉션의 성립과 정선 회화의 수집
Ⅳ. 미술시장과 개인 수장가의 정선 회화 수집 사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謙齋 鄭敾의 寫意山水畵 연구 : 詩意圖를 중심으로
미술사학
2017 .08
겸재 정선의 산천재도(山天齋圖) 연구
동양예술
2019 .01
겸재 정선의 영남지역 사경산수화(寫景山水畵) 고찰
동양예술
2019 .01
해악전신(海嶽傳神): 정선의 1712년 금강산도 제작에 관한 재고
미술사와 시각문화
2020 .01
동국제일명가(東國第一名家),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
월간미술
2025 .03
19세기 정선 그림의 계승 양상 : 도암 신학권(1785~1866)의 금강산도를 중심으로
미술사와 문화유산
2016 .11
이재의와 최헌수의 《금강산도첩》: 정선의 회화적 유산과 그 계승의 한 양상
미술사와 시각문화
2023 .05
근대미술의 선구자 고희동의 회화세계 연구 서양화 - 요소를 절충한 한국화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17 .02
매체로서의 회화: 추상회화의 환원과 확장
미술사와 문화유산
2023 .02
런던대 소아즈도서관 소장 정선의 전칭 화첩에 관한 고찰
미술사와 문화유산
2016 .11
회화의 확장성과 건축의 공간성 : 카타리나 그로세(Katharina Grosse)의 미술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미술문화연구
2021 .12
‘한국의 회화’로서의 1990~2000년대 한국화
기초조형학연구
2016 .10
근대 유럽에서 풍경화의 발흥과 진화
미술사논단
2022 .12
한국 전통회화의 국제성과 독창성 역사와 근현대의 수묵채색화
미술사논단
2024 .12
추상회화의 현재 : 구미·일본·현재 그리고 여성의 추상
미술사논단
2019 .12
회화로의 우회, 풍경으로의 진입 - 공성훈의 풍경 연작(1999~2019)에 대한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0 .12
고려 중기의 북송과의 회화 교류
미술사논단
2019 .12
고려 초기 회화의 조명
미술사논단
2019 .06
한국 개화기의 ‘풍경화’ 유입
미술사논단
2021 .06
일제강점기 이상범의 신문 휘호 작품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