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he Tidal Flat Environments and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of Southwest Coast, Korea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2015 .01
비식생 갯벌에서 퇴적물 입도에 따른 블루카본 저장 특성: 함평만과 동대만
한국환경과학회지
2023 .03
경기만 갯벌의 지표면 토지피복 변화가 국지기상에 미치는 영향 평가
대기
2017 .12
조류에너지의 이용기술
진공이야기
2016 .06
서해 연안 해역에서의 조석현상이 안개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2021 .11
Effect of Oil Contamination on the Resilience of Taxonomic and Functional Structure in the Korean Tidal Flat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04
신두리 갯벌 퇴적 유기물의 기원과 특성
한국습지학회지
2020 .01
Investigation of Bacterial Diversity Isolated from a Tidal Flat in Julpo Bay, Republic of Korea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2 .10
Isolation and Screening of Bacteria for Tyrosinase Inhibition from a Tidal Flat of the Yellow Sea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 .08
Features and factor on the development of tidal bundles in an open-coast macrotidal flat, northern G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6 .10
서해 조석현상에 따른 국지기상 변화가 수도권 오존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2019 .03
다중시기 위성자료 기반 낙동강 하구 지역 갯벌 면적 분석을 통한블루카본 저장량 변화 평가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4 .04
조류발전이 해양동물에 미치는 영향 검토 (리뷰)
한국습지학회지
2024 .05
갯벌의 보존 가치에 대한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24 .06
Comparative Biodiversity of Tidal Flat and Saltern from Yeongjong-do, Republic of Korea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04
A Bacterial Novel Species Candidate of the Genus Altererythrobacter Isolated from a Tidal Flat of Garorim Bay in South Korea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 .08
Paenibacillus translucens sp. nov., Isolated from Tidal Flat Sediment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04
Water Birds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Wetlands of the South · west Coast of Korea
한국조류학회지
2016 .12
Biodegrad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a Crude-oil Contaminated Sea-tidal Flat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5 .04
Flavihumibacter sediminis sp. nov., Isolated from Tidal Flat Sediment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