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강혜숙 (공주대학교)
저널정보
한국한문교육학회 漢文敎育論集 漢文敎育論集 제60호
발행연도
2023.6
수록면
247 - 281 (3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漢字는 商나라 甲骨文에서부터 楷書까지 수 천 년의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 과정 중에 造字 당시의 原形을 잃어버려서 字形에 드러난 뜻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졌다. ‘立’은 사람이 땅 위에 서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立’을 구건으로 한 한자는 대부분 ‘立’의 자형 및 본의와 전혀 상관없이 형태만 같은 것인데, 이는 한자의 연변 과정 중에 기존에 완정된 한자 중 가장 유사한 모습을 취해 변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원형을 잃어버려서 현재 완정된 한자로는 그 원형을 찾기 어렵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立의 구건을 취한 한자 중 龍, 音, 童, 妾, 新, 親의 자원과 자형 분석을 통해 이들의 본의와 立의 구건을 취하게 된 연변과정을 살펴보았다. 한자는 표의문자이므로 자형에 그 뜻이 드러난다. 그러나 오랜 세월 동안 자형이 변화하면서 많은 한자들이 그 원형을 잃어버려서 자형에서 본의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졌다. 본고에서는 유사한 자형을 취한 한자 중 ‘立’을 구건으로 한 한자들의 자원을 통해 본의를 알아보고, 갑골문과 금문에서부터 해서까지 이르기까지 立의 구건의 취하게 과정을 알아보았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