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되짚기(01)] 더 늦기 전에 원칙 지키는 저널리즘 바로 세워야
신문과방송
2023 .04
스트럭처 저널리즘, 데이터 저널리즘을 넘어서
해외미디어동향
2015 .12
데이터 저널리즘=‘천천히’ ‘팀’으로 일하기 : ‘데이터 저널리즘 서밋 2016’을 통해 본 데이터 저널리즘
신문과방송
2016 .05
[저널리즘 분야] 더 나은 저널리즘 실천 뉴스 이용자 파악부터 시작해야
신문과방송
2022 .12
스포츠 저널리즘을 위한 제언_저널리즘 사라진 스포츠 보도 외설·선정 넘어 ‘진지한 저널리즘’ 실천해야
신문과방송
2021 .10
국내 헬스 저널리즘의 현황과 품질제고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5 .10
저널리즘 연구와 교육의 필요성_‘연구-교육-현장’ 환류 체제 갖춰야 저널리즘 발전
신문과방송
2018 .11
서울신문 기사 삭제 사태로 돌아본 디지털 저널리즘의 원칙_저널리즘 원칙 바로 세우려면 독자를 보고 나아가야
신문과방송
2022 .04
VR 저널리즘 연구
연구보고서
2016 .11
저널리즘 교육 혁신을 위한 제안
연구보고서
2017 .10
[해외 미디어 보고서 들춰보기 ①]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을 지배할까? : ‘디지털’과 ‘저널리즘’ 조명한 해외 보고서 두 편
신문과방송
2016 .04
시민 저널리즘 교육 방안
연구보고서
2018 .10
저널리즘의 기준 재정립하자
관훈저널
2020 .03
5G와 저널리즘: 새로운 가능성에 도전한다
언론중재
2019 .09
유투브 저널리즘 정의와 진단 그리고 방송 저널리즘 생태계 진화: 행동주의 저널리즘의 부상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04
생성AI와 저널리즘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3 .11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주요 원칙
연구보고서
2018 .09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되짚기(05)] 원칙 : ‘무엇을’ 쓸지 만큼 ‘어떻게’ 쓸지도 고민해야
신문과방송
2023 .08
진정한 ‘방송 저널리즘’의 가치를 만나다
방송기자상 수상집
2018 .08
박상규 진실탐사그룹 셜록 대표_“비주류라서 가능한 저널리즘이 있다”
신문과방송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