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로 데이터는 많은 분량으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데이터의 양이 방대해지고 내용 역시 복잡해짐에 따라 효과적인 정보 전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뉴스와 같은 매체에서 그 필요성이 대두된다. 인터랙티브 뉴스는 온라인 저널리즘 중에서도 수신자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며 새로운 정보 전달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뉴스라는 새로운 매체가 수신자에게 어떤 시각 요소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지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2020년부터 2023년 사이 국내 언론사의 인터랙티브 뉴스에 포함된 데이터 시각화를 비주얼 내러티브의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내러티브 구조와 표현 요소, 표현 방법으로 분류했다. 내러티브 구조는 선형 구조, 비선형 구조, 다이내믹 구조, 표현 요소는 이미지, 색상, 타이포그래피, 표현 방법은 강조, 비교, 반복, 비유로 분석하였다. 각 항목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 내러티브 구조는 데이터와 수신자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작용을 하는 데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미지는 유형에 따라 사진은 직접적이고 사실적으로 내용을 전달하며 일러스트레이션은 간접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로 전달에 활용되는 것을 확인했다. 타이포그래피는 많은 양의 정보를 수신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때 활용되며, 색상은 고유의 감성으로 정보를 구분하거나,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수신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강조, 비교, 반복, 비유와 같은 표현 방법은 데이터의 정보를 해석하는 데에 시각적 변화를 통해 의미를 직간접적으로 강화하고 증폭시킬 수 있다. 하나의 데이터 시각화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요소가 중복되기도 한다는 전제하에 내러티브 구조에서는 선형 구조, 표현 요소에서는 이미지, 표현 방법에서는 비교가 높은 빈도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해외사례 위주로 연구되었던 데이터 시각화를 국내 9개의 언론사의 사례 분석을 통해 데이터 시각화 활용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온라인 저널리즘 외에도 여러 디지털 매체에서의 데이터 시각화를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본 후속 연구들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nd the Internet, data is growing rapidly in large amounts. As the amount of data becomes vast and the content becomes complex, the importance of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is increasing, and the need for it is especially emerging in media such as news. Interactive news provides a unique experience to recipients among online journalism and is being used as a new way of delivering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visual elements are used by a new medium called interactive news to effectively deliver data to recipients. Between 2020 and 2023, data visualization included in interactive news by domestic media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narratives, and it was classified into narrative structure, expression elements, and expression methods. The narrative structure was analyzed as linear structure, nonlinear structure, dynamic structure, and expression elements as images, colors, typography, and expression methods as emphasized, compared, repeated, and metaph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 of effective use of each item, it was found that the narrative structure is advantageous for the data and the receiver to interact organically. Depending on the type of image, it was confirmed that photography conveys the content directly and realistically, and illustration is used for indirect and symbolic communication. Typography is used to effectively convey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o recipients, and color serves to distinguish information with its own sensitivity or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content to be delivered to recipients. Expression methods such as emphasis, comparison, repetition, and metaphor can directly or indirectly reinforce and amplify meaning through visual changes in interpreting data information. It was confirmed that linear structure is used with high frequency in narrative structure, image in expression elements, and comparison in expression methods under the premise that elements that are effectively used in a single data visualization may exist in duplicate. As a resul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of using data visualization through case analysis of nine domestic media companies, which have been studied mainly in overseas cases so far.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that have viewed data visualization in various digital media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addition to online journalism will emer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