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기술동향브리프 ②]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 기술
KISTEP InI
2022 .01
믿기지 않아서 계속 둘러보게 되네요 : 쓰레기 집에서 정말 버리고 싶은 것
바람과 물
2021 .09
‘버림’은 가능한가 : 나와 해양쓰레기와 세계의 이야기
바람과 물
2021 .09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채택 韓 수출 ‘적신호’
월간환경
2021 .02
쓰레기 수출국 韓…플라스틱 소비 줄여야
월간환경
2019 .06
어차피 쓰레기?··· 친환경 가면 쓴 ‘생분해 플라스틱’ 친환경 플라스틱의 현재와 미래
월간환경
2022 .05
‘기후변화로 재앙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 극단적 날씨 4배 이상↑… 식량안보·건강 ‘적신호’ “2030년까지 기후 회복 실천 없을 시 지속가능한 길 모두 차단”
월간환경
2024 .03
비대면 소비의 역습···‘쓰레기 팬데믹’ 시대 온다 : 하루 음식서비스 거래액 1조6730억, 플라스틱 쓰레기 830만개
월간환경
2020 .12
올바른 버림을 위한 쓰레기 연대
바람과 물
2021 .09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유형 도출: 코로나19 발생 전 그리고 후 비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22 .02
우리가 매일 쓰고 버린 ‘마스크’는 어디로 갔을까 : 바다에 버려진 코로나發 마스크 16억개···해양 오염 심각
월간환경
2021 .02
플라스틱 없는 삶, 우리가 살 길
월간환경
2019 .07
쓰레기책 – 왜 지구의 절반은 쓰레기로 뒤 덮이는가 : 에코북
월간환경
2020 .04
농업관행으로 인한 카르스트 대수층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1 .10
“1차 폴리머 생산이 플라스틱 오염 근본 문제”
월간환경
2024 .08
우주에서 우리 자신에게 쓰레기를 던지지 않으려면
바람과 물
2021 .09
脫 플라스틱, NGO가 만드는 ‘녹색혁명’ : 제주도, 인구·관광객 폭증으로 일회용 쓰레기도 급증_플라스틱 제로 사회를 위한 시민들의 고군분투기
월간환경
2021 .08
해양 세균을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제거에 대한 연구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04
[플라스틱 없는 세상을 꿈꾸다] 야생 생태계까지 덮친 미세플라스틱 오염 - 인간이 무심코 버린 플라스틱… 환경 파괴와 야생동물 생존 위협
월간환경
2022 .11
서울 도심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첫 발견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1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