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한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정기욱 (충북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정유선 (강동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형석 (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고대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저널정보
대한수혈학회 대한수혈학회지 대한수혈학회지 제35권 제2호
발행연도
2024.8
수록면
135 - 136 (2page)
DOI
10.17945/kjbt.2024.35.2.13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BO-blood typing typically involves both front typing (cell typing) and back typing (serum typing) to ensure accurate determination of blood type. However, in neonates, back typing is frequently omitted due to their immature immune system. If an institution chooses red blood cells (RBCs) that match the neonate's blood type, omitting back typing could lead to unexplained cross-matching incompatibilities. Therefore, blood banks should be cautious with neonatal blood typing and transfusion practices to ensure transfusion safety. (Korean J Blood Transfus 2024;35:135-136) Key words: ABO typing, Neonate, Back typing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