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3
목 차제 1장 서 론 1제 1절 연구의 목적 1제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제 3절 연구의 구성 3제 2장 정책집행 오류에 관한 이론적 검토 및 기존연구 5제 1절 정책집행의 개념 및 영향요인에 관한 주요 연구 51. 정책집행의 개념에 관한 주요 연구 52. 정책집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주요 연구 6제 2절 정책오류의 개념 및 분류에 관한 주요 연구 81. 정책오류의 개념에 관한 주요 연구 82. 정책오류의 분류에 관한 주요 연구 10제 3절 정책집행 오류의 유형에 관한 주요 연구 131. 정책집행 체계 131) 집행의 명확성과 일관성체계 부족 132) 의사전달체계의 왜곡 143) 집행절차의 문제 162. 정책집행 주체 161) 집행주체의 의욕과 태도 172) 집행주체의 규범 183. 정책집행 자원 191) 예산 활용의 부적정 192) 인사 활용의 부적정 203) 정보 및 데이터 활용의 부적정 214) 법규 적용의 부적정 224. 정책집행 행태 231) 비협조와 합의 조정의 문제 232) 집행의 지연 243) 정책의 임의변경 254) 부집행 265) 불응 275. 정책집행 오류의 유형에 대한 요약 28제 4절 공공감사의 개념 및 기능에 관한 주요 연구 311. 공공감사의 개념에 관한 주요 연구 312. 공공감사의 기능에 관한 주요 연구 34제 3장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35제 1절 연구모형 및 내용분석방법 351. 연구모형 352. 내용분석의 개념에 대한 주요연구 383. 내용분석방법 404. 신뢰도 425. 행정학·정책학 분야에서의 활용 42제 2절 분석대상 및 기준 431. 분석대상 감사원 감사결과보고서 432. 분석기준 451) 감사원 감사결과보고서에 대한 내용분석 기준 45제 4장 감사원 감사결과보고서의 내용분석 결과 49제 1절 기초통계 결과 및 신뢰도 검증 491. 기초통계 결과 491) 각 정권 및 연도별 비중 492. 신뢰도 검증 53제 2절 감사대상 정책분야별 내용분석 결과 541. 외교 및 안보 분야 내용분석 결과 542. 복지 및 노동 분야 내용분석 결과 573. 정보통신 및 과학 분야 내용분석 결과 604. 세무 분야 내용분석 결과 635. 산업 및 환경 분야 내용분석 결과 666. 내용분석 결과 요약 및 소결론 68제 3절 정책집행 오류의 분야별 내용분석 결과 711. 정책집행 체계 분야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711) 집행의 명확성과 일관성체계 부족 732) 의사전달체계의 왜곡 743) 집행절차의 문제 762. 정책집행 주체 분야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771) 집행주체의 의욕 및 태도의 문제 792) 집행주체의 규범 803. 정책집행 자원 분야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811) 예산 활용의 부적정 832) 인사 활용의 부적정 853) 정보 및 데이터 활용의 부적정 864) 법규 적용의 부적정 884. 정책집행 행태 분야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901) 비협조와 합의조정의 문제 922) 집행의 지연 933) 정책의 임의변경 954) 부집행 965) 불응 985. 내용분석 결과 요약 및 소결론 99제 5장 결 론 105제 1절 연구의 요약 105제 2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 107참고문헌 109Abstract 11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