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임규채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김희호
발행연도
2017
저작권
경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3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와 교역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베트남시장을 두고 한국, 중국, 일본의 경쟁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베트남은 인구와 성장잠재력이 크고 최근 5년간 연평균 5.9%의 안정적 경제성장을 보이는 아세안 최대시장이다. 이러한 성장과 함께 소득수준이 높아져 소비재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제조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주력제품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와 베트남간의 경쟁력, 베트남시장에서 중국 및 일본과의 경쟁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수출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의 교역현황, FTA체결 현황 등을 살펴보고 주요 교역국과 주력품목을 대상으로 성과와 경쟁력 변화를 분석한다. 수출입구조 분석은 베트남을 상대로 한국, 중국, 일본을 비교하고 경쟁력 분석은 베트남시장을 대상으로 한다. 분석방법은 경쟁력분석, 무역효과분석, 경합도 분석으로 구분하고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수출 결정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베트남에 대한 무역은 전 품목에 특화되어 있고 비교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제품에서 일본과 중국에 비해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었다. 중국도 경쟁력은 약화되고 있으나 일부품목에서는 무역특화도나 비교우위가 강화되고 있어 수출여건이 우리나라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무역특화도나 비교우위가 모두 약화되었으나 질적인 측면에서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국가별 경쟁력 분석과 더불어 베트남시장에서 한국, 중국, 일본의 수출경합도를 추가적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중국과의 경합은 치열해 지고 있으나 일본과는 경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일본간의 경합도는 한국보다 더 낮게 나와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경합은 치열해지고 일본은 차별화된 시장점유형태를 보였다. 무역효과분석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 모두 베트남과 FTA를 체결한 후 무역창출효과, 간접무역굴절효과가 나타났으나 무역전환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출 결정요인분석은 중력모형(Gravity Model)과 축차회귀모형(rolling linear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제시한 독립변수 중 거리변수는 한국, 중국, 일본이 교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의 거리차이가 나지 않아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았다. 둘째, 분석대상에 포함된 변수 중 양 국가 간 교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구와 환율이었으며, GDP의 영향력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FTA 체결에 따른 영향력은 빠르게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면, 베트남시장은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대상국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쟁력이 더욱 약화될 가능성이 있고 베트남 경제가 발전하면서 수입대체효과도 커질 수 있다. 따라서 ASEAN 역내 국가들 중 진출이 용이한 시장을 단계적으로 개척해야한다. 또한 상품뿐만 아니라 유통, 물류 등 서비스업 진출, 베트남 경제성장에 따른 수입대체산업 성장에 대비한 시장 확대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 연구 필요성 및 방법 3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의 방법 4
3. 선행연구 검토 5
제2장 FTA이론과 한국의 교역 현황 9
1. 경제통합의 이론적 논의 9
2. 한국의 교역구조 12
1) 세계의 교역 12
2) 한국의 교역 추이 14
3) 한국의 교역 순환 15
4) 한국의 교역 의존도 16
3. 한국의 FTA 현황 18
제3장 베트남 경제와 한?중?일의 對베트남 교역구조 22
1. 베트남 경제와 교역 현황 22
1) 베트남의 경제 현황 22
2) 베트남의 교역 현황 23
2. 한국?중국?일본의 對베트남 교역 25
1) 한국의 對베트남 교역 25
2) 중국의 對베트남 교역 29
3) 일본의 對베트남 교역 33
4) 한국?중국?일본의 對베트남 교역 비교 37
제4장 국가별 對베트남 수출경쟁력 분석 41
1. 수출경쟁력 분석방법 41
1) 분석자료 41
2) 분석방법 42
2. 수출경쟁력 분석모형 44
1) 무역특화지수 44
2) 현시비교우위지수 45
3) 수출경합도지수 46
3. 수출경쟁력 분석결과 47
1) 경쟁력 변화 47
2) 국가간 경합도 55
3) 수출경쟁력 분석 종합 56
제5장 對베트남 수출 결정요인 분석 58
1. 수출 결정요인 분석방법 58
1) 분석자료 58
2) 분석방법 58
2. 수출 결정요인 분석모형 59
1) 중력모형 59
2) 축차회귀모형 61
3. 수출 결정요인 분석결과 61
1) 수출 결정요인 61
2) 수출 결정요인의 동태적 변화 63
제6장 결론 66
1. 결과 66
2. 시사점 67
참고문헌 69
영문초록 72
부록1. 경쟁력분석 방법 75
부록2. 한국?중국?일본의 수출 중복 세부품목 76
부록3. 무역효과 분석 77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