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24
2020
제1장 서 론 1제 1 절 연구 개요 11. 연구 배경 12. 연구 목적 및 범위 9제 2 절 바닥충격음 해석 방법: Vibro-Acoustic Analysis 151. 통계적 에너지 해석기법 152. 유한요소기법 263. FE-SEA 하이브리드 해석 31제2장 바닥충격음의 발생 메커니즘 분석 34제 1 절 바닥충격음 측정 341. 목업의 제원 및 바닥충격음 측정 방법 342. 바닥충격음 측정 결과 383. 가속도 측정 결과: 중량 충격음 40제 2 절 전산해석을 이용한 바닥충격음 예측 441. 바닥충격음 해석 모델 구성 442. 바닥충격음 예측 및 신뢰성 검증 46제 3 절 바닥충격음의 기여도 분석 481. 구조물의 소음 발생 기여도 482. 표준바닥구조의 완충재 623. 음향 모드(룸 모드) 74제 4 절 바닥충격음 발생 메커니즘 고찰 86제3장 SEA-FEM 하이브리드 해석 방법 89제 1 절 구조물의 모드밀도 891. 연구 대상 목업의 제원 892. 구조물의 모드 밀도 측정 91제 2 절 구조물의 내부손실계수 951. 시험 시편 제작 952. 건설재료의 내부손실계수 측정 결과 98제 3 절 구조물의 연성손실계수 1011. 연성손실계수: 구조-구조 1012. 연성손실계수: 구조-음향공간 109제 4 절 전산해석을 이용한 충격음 예측 1141. SEA-FEM 하이브리드 해석 방법 1142. 건축물의 진동 특성 1193. SEA-FEM 하이브리드 해석 방법 적용 124제 5 절 SEA-FEM 하이브리드 해석 방법 적용: 표준바닥구조 131제 6 절 SEA-FEM 하이브리드 해석 방법 고찰 133제4장 결 론 135참고문헌 138APPENDIX A: 해외 바닥충격음 관련 기준 151APPENDIX B: 건설재료의 물성 측정 1551. 배경 이론 1552. 건설재료의 물성 측정 1603. 완충재의 동탄성계수 측정 165ABSTRACT 16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