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1
Ⅰ. 서론 11-1 연구배경 및 목적 11-2 연구범위 및 방법 21-3 연구 흐름도 3Ⅱ. 이론적 고찰 42-1 공동주택과 하자 42-1-1 공동주택 개념 42-1-2 하자의 범위와 하자담보 책임기간 72-2 공동주택 하자 유형 및 발생원인 82-2-1 하자의 형태 82-2-2 세대내의 하자 및 공용부의 하자 82-2-3 아파트 면적 및 공간부족, 소음발생 82-2-4 하자발생원인 102-3 선행연구 고찰 12Ⅲ. 공동주택 반복하자 공종별 특성 133-1 공동주택 반복하자 공종별 분류 133-2 공동주택 반복하자 발생 원인 및 대책 143-2-1 지상층 골조균열누수 143-2-2 지하구조물 골조균열누수 153-2-3 결로(세대, 창호, 지하통로) 163-2-4 타일공사 173-2-5 설비배관누수 183-2-6 토목 침하/유실 193-2-7 온돌마루 203-2-8 방수공사 213-2-9 가구공사 223-3 소결 23Ⅳ. 공동주택 거주자 특성 244-1 개요 244-1-1 조사집단의 특성 244-1-2 거주지 선택 조건 254-2 거주 단지의 우수/편리한 사항 264-3 거주 단지의 불편/불만 사항 284-4 입주 경과별 불편/불만 사항 304-5 소결 30Ⅴ. 거주자 특성에 따른 하자관리 의식차이 315-1 하자관리 만족도 315-2 체감하자와 접수하자 상관 관계 345-3 거주자 특성에 따른 하자관리 의식차이 분석 355-3-1 성별 하자관리 만족도 355-3-2 연령별 하자관리 만족도 365-3-3 가족구성원별 하자관리 만족도 375-3-4 평형별 하자관리 만족도 385-3-5 거주층수별 하자관리 만족도 395-3-6 거주형태별 하자관리 만족도 405-3-7 거주지역별 하자관리 만족도 415-3-8 단지세대수별 하자관리 만족도 425-3-9 동평면형태별 하자관리 만족도 435-4 소결 44Ⅵ. 결론 45참고문헌 47설문지양식 4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