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김유미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강삼모
발행연도
2021
저작권
동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4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nalyz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flow of capital by monetary policy. In the BOK''s monetary policy decision, concerns over a reduction in the interest rate gap at domestic and abroad and a possible outflow of capital have always served as factors limiting the rate cut. However, there have been three policy rate reversal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ince 2000, but no sudden capital outflow by foreigners has occurred. This suggests that the difference in interest rates at domestic and abroad may not be a major factor in foreigners'' capital outflows. In this paper, the major determinants affecting extreme capital flow and the extreme outflow of foreign capital were empirically verified. We develop a methodology for identifying episodes of extreme capital flow movements using data that differentiates activity by foreigners and domestics. We identify episodes of “surges” and “stops” (sharp increases and decreases, respectively, of gross inflows) and “flight” and “retrenchment” (sharp increases and decreases, respectively, of gross outflows). According to a empirical analysis of the CLOGLOG panel model, The sudden outflow of funds by foreigners was more sensitive to external instability than domestic factors, and their growth was more important than interest rate differences. This suggests that changes in monetary policy are not a direct factor in capital outflows, and given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olicies tailored to growth more than concerns about capital outflows in future monetary policy decisions by the Bank of Korea.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2장 연구에 관한 이론적 배경 5
제1절 자금 흐름의 결정요인 분석 5
1. 자본 이동의 설정 5
2. 국제수지 중 자본의 범위 6
제2절 선행 연구 7
1. 개관 이론적 배경 7
2. 해외연구 8
3. 국내연구 10
제3장 분석 자료와 연구방법 14
제1절 분석자료 14
1. 주요 지표 14
2. 국제 자본이동의 급격한 변동구분 17
3 변수의 정리 26
제2절 실증분석 방법 30
1. 연구 모형 30
제4장 분석 결과 33
제1절 아시아 33
1. 전체 자본 변동에 영향 미치는 결정요인 33
2. 채권 42
3. 주식 45
제2절 선진국 47
1. 전체 자본 변동에 영향 미치는 결정요인 47
2. 채권 57
3. 주식 60
제3절 한국 64
1. 전체 자본 변동에 영향 미치는 결정요인 64
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환경 점검 73
3. 주식 79
4. 채권 83
제4절 분석 결과의 정리 92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97
제1절 결론 97
제2절 시사점 100
참 고 문 헌 104
ABSTRACT 107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