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저출산대책의 성립 배경
3. 저출산대책의 관점과 주체
4. 정책의 목표와 성격: 복지정책인가 노동시장정책인가?
5. 이명박정부의 저출산대책: 반(反)여성성과 친(親)기업성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유럽의 저출산 관련 정책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한국여성학
2005 .12
저출산 대책 육아정책 개발을 위한 유아교육·보육 전문가의 요구 및 전략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018 .01
현재의 저출산이 여성들 때문일까? : 저출산 담론의 여성주의적 전유를 위하여
젠더와 문화
2010 .12
서울시 저출산정책 발전방안 연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08 .12
지방자치단체 여성정책의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페미니즘 연구
2006 .10
1980∼90년대 한국의 저출산 현상 : 젠더 불평등 및 그 문화적 의미
한국여성학
2013 .09
‘저출산’과 한국 모성의 젠더정치
한국여성학
2005 .12
부산시 저출산 원인과 대책 : 부산시 저출산·고령화 대응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2009 .12
성평등 관점에서의 저출산 기본계획 평가와 대안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020 .03
저출산문제와 신인구정책의 딜레마
여성우리
2006 .03
여성의 몸과 주체를 둘러싼 정책적 담론의 형성
아시아여성연구
2005 .11
프랑스 보육정책의 함의 : 융복합적 관점에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18 .12
Family Policies and Fertility: Which Policies Matter?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09 .12
유럽의 가족정책과 출산 : 어떤 정책이 문제인가?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09 .12
Family Policies and Fertility: Which Policies Matter?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09 .12
유럽의 가족정책과 출산 : 어떤 정책이 문제인가?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09 .12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6 .01
저출산과 일 · 가정 양립
여성우리
2015 .06
가부장제와 한국의 저출산 문제 : 실비아 월비의 『가부장제 이론』을 토대로
젠더와사회
2009 .12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한국여성학
2012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