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상담자보다 소진 위험성이 높은 청소년상담센터 상담자를 대상으로 업무환경 요인과 개인내적 보호요인(마음챙김, 자존감, 삶의 의미추구)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전국 청소년 상담 기관에 근무하는 청소년 상담자 305명이었으며, 업무환경 요인과 개인내적요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 상담자의 업무환경 요인과 상담자 소진은 정적 상관을, 개인내적 보호요인들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소진에 대한 각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였을 때, 청소년 상담자의 업무환경 요인(정적 영향), 삶의 의미 추구 요인(부적 영향), 마음챙김 요인(부적 영향) 순으로 나타났으며 자존감 변인의 유의미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이는 업무환경 요인이 청소년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긴 하지만 개인 내적 보호요인들이 환경의 부적 영향력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켜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함의와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job circumstance and individual internal factors(mindfulness, self-esteem, searching for meaning in life) on youth counselor’s burnou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305 youth counselors’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ed by SPSS 18.0 program. Major finding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job circumstance and individual internal factors was correlated with burnout. Second, each factors’ power of influence was in order of job circumstance (positive effect), searching for meaning in life(negative effect), mindfulness(negative effect). As a result, though job circumstance was powerful in youth counselor’s burnout, psychological internal factors(mindfulness, searching for meaning in life) were likely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burnout.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 the way about appropriat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youth counselor’s burnout, focused by internal protective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