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표현의 자유의 의의
Ⅲ. 기존 매체에서의 명예훼손법리
Ⅳ. 인터넷에서의 명예훼손법리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9. 4. 16. 선고 2008다53812 판결
[1] 인터넷 종합 정보제공 사업자가 보도매체가 작성·보관하는 기사에 대한 인터넷 이용자의 검색·접근에 관한 창구 역할을 넘어서서, 보도매체로부터 기사를 전송받아 자신의 자료저장 컴퓨터 설비에 보관하면서 스스로 그 기사 가운데 일부를 선별하여 자신이 직접 관리하는 뉴스 게시공간에 게재하였고 그 게재된 기사가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을 담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2. 4. 25. 선고 2001헌가27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법률 제2조 제3호 및 제8조 제1항의 `청소년이용음란물`이 실제인물인 청소년이 등장하는 음란물을 의미하고 단지 만화로 청소년을 음란하게 묘사한 당해사건의 공소사실을 규율할 수 없다고 본다면 위 각 규정은 당해사건에 적용될 수 없어 일응 재판의 전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2. 1. 31. 선고 2001헌바43 전원재판부
가.헌법 제19조에서 보호하는 양심은 옳고 그른 것에 대한 판단을 추구하는 가치적·도덕적 마음가짐으로, 개인의 소신에 따른 다양성이 보장되어야 하고 그 형성과 변경에 외부적 개입과 억압에 의한 강요가 있어서는 아니되는 인간의 윤리적 내심영역이다. 따라서 단순한 사실관계의 확인과 같이 가치적·윤리적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없는 경우는 물론, 법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2. 6. 27. 선고 99헌마480 전원재판부
가.표현의 자유를 규제하는 입법에 있어서 명확성의 원칙은 특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무엇이 금지되는 표현인지가 불명확한 경우에, 자신이 행하고자 하는 표현이 규제의 대상이 아니라는 확신이 없는 기본권주체는 대체로 규제를 받을 것을 우려해서 표현행위를 스스로 억제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표현의 자유를 규제하는 법률은 규제되는 표현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9. 6. 24. 선고 97헌마265 전원재판부〔기각〕
1.신문보도의 명예훼손적 표현의 피해자가 공적 인물인지 아니면 사인인지, 그 표현이 공적인 관심 사안에 관한 것인지 순수한 사적인 영역에 속하는 사안인지의 여부에 따라 헌법적 심사기준에는 차이가 있어야 한다. 객관적으로 국민이 알아야 할 공공성·사회성을 갖춘 사실은 민주제의 토대인 여론형성이나 공개토론에 기여하므로 형사제재로 인하여 이러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0. 4. 2. 선고 89헌가113 전원재판부〔합헌〕
1. 위헌법률심판(違憲法律審判)의 대상(對象)에 있어서 법문(法文)의 내용(內容)이 다의적(多義的)이고 그 적용범위(適用範圍)에 있어서 과도한 광범성(廣範性)이 인정된다면 법치주의(法治主義)와 죄형법정주의(罪刑法定主義)에 위배(違背)되어 위헌(違憲)의 소지(素地)가 있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터넷에 ‘맛 없는 집’이라고 쓸 경우 명예훼손이 성립할까?
언론중재
2015 .03
의견표현에 의한 명예훼손의 새로운 이해
언론중재
2017 .09
사실적시 명예훼손행위의 규제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검토
형사정책연구
2018 .09
사실 적시 명예훼손죄의 폐지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대상결정 : 헌법재판소 2020. 2. 25. 선고 2017헌마1113, 2018헌바330(병합) 결정 -
강원법학
2021 .08
영국의 명예훼손법 개정과 그 의미
공법학연구
2015 .11
진실적시명예훼손죄에 대한 규범적 검토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2018 .01
진실적시명예훼손죄 폐지론
형사정책연구
2016 .12
SNS상 표현의 자유와 명예훼손간 충돌 위기 완화를 위한 법·제도적 연구
한국테러학회보
2021 .01
법률개정(안)을 통한 명예훼손죄의 비범죄화에 대한 논의
홍익법학
2019 .01
사이버명예훼손죄의 구성요건 분석 및 형사법적 규제 방안에 대한 小考
법학연구
2015 .01
사실 명예훼손죄 규정에 대한 소고
성균관법학
2021 .06
사자(死者)의 명예훼손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와 시사점
법학연구
2016 .01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의 명예훼손 책임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05
사실적시 명예훼손죄를 통한 명예보호의 문제점 - 헌법재판소 2017헌마1113 등 결정을 중심으로 -
법학논총
2021 .06
’이용자 후기‘를 놓고 벌어진 ‘표현 자유’와 ‘명예 훼손’ 줄다리기
KISO 저널
2021 .06
사이버 명예훼손의 규제 및 피해 상담·신고 단계에서의 경찰의 역할
경찰법연구
2023 .02
명예훼손죄에 대한 헌법합치적 해석론과 재판실무의 운용
언론과법
2016 .04
인터넷 뉴스 기사의 악성 댓글로 인한 명예훼손 피해 방지를 위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2020 .01
사이버 명예훼손의 근절을 위한 교육・제도적 개선방안: 악성 댓글을 중심으로
교육법학연구
2019 .01
명예훼손죄의 비범죄화에 대한 논의와 그 대안에 대한 연구 - 형법 제307조 제1항의 사실 적시 명예훼손죄를 중심으로 -
법학논총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