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서론
제1장 러일전쟁기의 사진그림엽서의 제작과 발행
제2장 사진그림엽서 속에 투영된 제국의 프로파간다
결론-전쟁의 기억과 전승
참고문헌
Abstract
日本語抄録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메이지 초, 한반도 인식의 다층성 - 『유학강요』에 묘사된 ‘중계자, 문화 전래자’로서의 ‘한반도/한반도인’-
일본문화연구
2023 .04
근대 사진그림엽서의 개념 정의와 종류에 대한 특성 고찰
일본문화연구
2021 .07
일제침략기 군대만화엽서를 통해 본 군대의 홍보와 병영생활 : 전쟁프로파간다의 전파와 확산
일본문화연구
2018 .07
The Russo-Japanese War and its Effects on Ukraine
동유럽발칸연구
2016 .12
천황제와 일본 군국주의
황해문화
2015 .12
근대 일본의 그림엽서 문화사 담론
日本思想
2020 .01
〈창조적 전통주의〉관점에서 본 일본론
일본문화학보
2019 .11
眞興王의 皇龍寺 造成에 관한 불교적 의미의 재검토- 불교진흥을 통한 왕권강화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
2017 .01
流行語「自己責任」に暗示されるイデオロギー性について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1 .04
現代日本語の「打ち言葉」の定義と特徴 -「Twitter」のクローリングによる「打ち言葉」の分析と共に-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20 .09
樋口一葉「人妻物語」論 -『軒もる月』の心揺れる人妻を中心に-
일어일문학
2019 .05
메이지 시대 창가와 일본 초기 기독교와의 상관관계 : 찬미가를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16 .04
현행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근대 한일 관계 인식 -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
2021 .10
‘1907년 체제’와 일본의 외교정책
일본학보
2024 .02
윤동주 평전의 질료와 빈 곳 - 윤동주와 박치우의 서신, 그 새로운 사실과 전망
한국시학연구
2020 .02
日本語学習者の接続詞使用からわかること : YNU日本語書き言葉コーパスを対象に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7 .03
日露戦争開戦期の新体詩研究 - 雑誌『太陽』を中心に -
일본어문학
2022 .08
이미지와 시가(詩歌)의 문화정치학 (Ⅰ) – 일제시대 사진엽서의 경우
동방학지
2016 .01
日露戦争期の韓国新聞の内容分析 : 当時の韓国にとって日露戦争とはどのように受け取られたか
일본문화연구
2017 .01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意見文における「のだ」の使用について
일본문화학보
2020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