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연구 목적과 필요성
Ⅱ. 연구방법
Ⅲ. 이론적 배경
Ⅳ. 연구 현장 맥락
Ⅴ.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제 강점기 신문기사로 본 제주 해녀 연구
제주도연구
2019 .01
[Culture Column] 제이누리 특약 제주이야기 | 제주 해녀_제주 해녀 탄생의 비화
더스쿠프
2020 .04
해녀 취재 11년, 해녀를 닮아 가다 : 제민일보 ‘대하기획 제주해녀’
신문과방송
2017 .02
그림책에 묘사된 제주 해녀 이미지 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2022 .08
[취재 후] 나도 해녀가 될 수 있을까
주간경향
2024 .10
제주해녀의 지속가능한 노동력 재생산은 가능한가? - 해녀학교의 역할을 중심으로 -
대한지리학회지
2024 .12
‘해녀’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23 .02
제주 해녀에 관한 사회적 담론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23 .05
제주해녀의 노동력 재생산 연구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4 .09
세계인 식탁에 제주산 뿔소라 올린다_김하원 해녀의부엌 대표의 해녀 마을 되살리기
인사이트코리아
2022 .08
[PART 03] 제주에 ‘잘’ 살어리랏다!
브라보 마이 라이프
2022 .07
날마다 제주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8 .12
제주해녀와 함께 『공유의 비극을 넘어』 : 공유자원관리체제를 통한 자원부족시대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연구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5 .11
숨비소리 : 제주 해녀 관광기념품 디자인 콘셉트 개발
한국관광레저학회 학술발표대회
2017 .06
TV 휴먼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제주 해녀 - KBS 〈인간극장〉을 중심으로 -
사회이론
2021 .05
경북 해녀문화 보존·전승에 대한 관심 높여야
경북여성가족정책브리핑
2020 .08
해녀 활동의 지적학적 함의 연구 - 국내 최고령 해녀 김화순을 중심으로 -
한국지적학회지
2024 .08
[Culture Column] 제이누리 특약 제주이야기 | 해녀항일운동 ❷_배움만이 구국의 길이었고…
더스쿠프
2019 .06
시선의 정치학과 내부식민지의 탄생 - 1962년 산업박람회를 중심으로 -
日本學(일본학)
2021 .01
한국 잠녀, 해녀의 역사와 문화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