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서론
2.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3. 부산 문화예술교육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
4.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부산 문화예술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학논총
2018 .01
우리나라 다목적 공연장의 탄생배경에 관한 소고
공연문화연구
2020 .01
남북한 문화예술교육방법의 비교: 정부간행 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2019 .01
역사콘텐츠 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춤추는 역사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8 .06
진화론적 관점으로 본 문화콘텐츠의 발생
인문콘텐츠
2018 .09
종교시설의 사회문화적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개신교 문화예술콘텐츠네트워크 사례경험을 중심으로
주관성 연구
2018 .01
예술교양의 형성과 실천에 대한 비판적 이해
현대유럽철학연구
2022 .04
폐교를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의 사회적 역할 연구 - 부산 ‘놀이마루’와 도쿄 ‘3331 아트 치요다’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19 .05
‘나이 듦’의 의미와 문화예술교육 지향성 소고
대동철학
2021 .01
문화예술교육에서 무용교육의 위치와 기능
공연문화연구
2018 .01
문화예술교육 일상화의 개념적 확장과 적용
인문콘텐츠
2016 .06
한국전쟁기 부산지역 예술사회의 동향-미발굴 잡지 『예술타임쓰』를 중심으로
항도부산
2023 .02
교양예술교육의 목적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사유-실러의 미적 교육론의 관점을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2018 .01
시민 문화예술 활동에서 거점공간의 역할
시민인문학
2020 .01
문화예술교육의 맥락에서 인문정신문화와 무용교육의 융합적 접근 모색
한국문학과 예술
2020 .09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내용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2023 .08
국어교육과 예술교육의 상보적 요소에 대한 관찰
한국초등국어교육
2015 .01
예술은 없다
월간에세이
2019 .06
뉴미디어 아트와 계급구조의 재생산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6
전북지역의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 현황과 개선 방안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9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