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he Identity of “Joseon Film”: Between Colonial Cinema and National Cinema
Korea Journal
2019 .12
해방 이후 뉴스-문화영화 제작사 연구 ― 민간 영화사를 중심으로 ―
사림
2015 .01
문학과 영화의 상호매체적 관점에서 본 영화의 확장성과 한계성 고찰
유럽사회문화
2015 .12
중국과 러시아 영화사를 통해본 영화정책 변모양상 : 1896~195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17 .03
2022 중앙아시아 영화 연구 - 제 27회 부산국제영화제 출품작 《집 팝니다》와 《쑥의 향기》를 중심으로 -
노어노문학
2022 .12
일본 영화소설의 전개 양상 - 191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
일어일문학연구
2016 .08
중국영화 비평을 위한 좌표들 ― 영화산업 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지
2021 .01
한·중 합작영화의 성과와 한계
동아인문학
2022 .12
Comrade Kim Goes Global: Refiguring North Korean Cinema in a Global Context
Situations: Cultural Studies in the Asian Context
2020 .01
유럽, 북미에서 한국영화의 경쟁력 요인 연구 : 외국인 전문가 심층 면접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24 .06
러시아와 중국의 영화정책 상관성 연구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7 .01
Literature on the Silver Screen: Towards a Collaborative Success
영상영어교육(STEM Journal)
2019 .01
Dead Woman Walking: Female Representation in Lee Jang-ho’s Film Adaptation of Choi In-ho’s Byeoldeul-ui gohyang
Korea Journal
2024 .09
공공역사로서의 역사영화와 개연성으로서의 역사
역사비평
2022 .05
谷口園 鄭象觀의 『史記』 애호와 그 의의 -「讀馬史」 및 南漢朝와의 왕복 서한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4 .08
해방기 한국영화의 기술 여건과 입지 변화의 양상 연구
석당논총
2020 .01
불화와 화해의 영화적 변주곡 ― 한국 영화 「곡성」, 「밀양」, 「만신」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0 .03
한국의 다문화 영화 : 장르적 접근
인문콘텐츠
2015 .03
영화의 재현적 기능과 의미 형성 사이의 딜레마 - 아도르노의 「영화투명성」을 중심으로 -
철학사상
2022 .11
Exclusive Pakkey and Multidimensionality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