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마케팅학회 마케팅연구 마케팅연구 제35권 제4호
발행연도
2020.11
수록면
125 - 143 (19page)
DOI
10.15830/kjm.2020.35.4.12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오늘날 전자제품, 자동차, 음악, 영상, 의류, 그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무형 제품이 소유(possession)가 아니 구독(subscription)의 형태로 소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소비자들의 구독소비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가 제한적이다. 구독과 소유의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이용시간의 한정성’이다. 소유와는 달리, 구독은 제품 이용에 있어서 한정된 시간 기한이 제시된다. 따라서 이용시간에 관한 정보는 소비자가 구독제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독제품의 이용시간 제시형태에 따라 제품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세 개의 실증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이용시간의 제시형태를 기간(duration)과 날짜(date)로 구분하여, 각각의 형태에 따라 구독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최대지불용의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검증하였고, 이때 시간제시형태의 효과를 설명하는 내재된 기제(underlying mechanism)로서 지각된 시간 길이(perceived temporal length)의 매개적 역할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구독제품의 이용시간이 기간으로 제시되었을 때, 날짜로 제시되었을 때와 비교하여,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와 최대지불금액이 높아졌으며, 이는 사람들이 기간일 때 이용시간을 더 길게 지각했기 때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시간제시형태의 효과를 조절하는 변수로서 정보처리유형을 제안하였다. 실험 2와 3의 결과를 바탕으로, 감정을 기반으로 정보처리를 하는 경우, 시간제시형태의 효과가 강화되었지만 이성을 근거로 정보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약화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학술적,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실험 1
Ⅳ. 실험 2
Ⅴ. 실험 3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참고문헌 (5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