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선생님의 논문 발표 당시 한국에서 독일 국제사법에 관한 논의 상황
Ⅲ. 선생님 논문의 의의: 독일 국제사법의 특색
Ⅳ. 선생님 논문 후의 상황과 변화
Ⅴ. 맺음말
대법원 2006. 5. 26. 선고 2005므884 판결
[1] 미합중국 미주리 주에 법률상 주소를 두고 있는 미합중국 국적의 남자(원고)가 대한민국 국적의 여자(피고)와 대한민국에서 혼인 후, 미합중국 국적을 취득한 피고와 거주기한을 정하지 아니하고 대한민국에 거주하다가 피고를 상대로 이혼, 친권자 및 양육자지정 등을 청구한 사안에서, 원·피고 모두 대한민국에 상거소(常居所)를 가지고 있고, 혼
자세히 보기부산가정법원 2012. 12. 21. 선고 2011드단14172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12. 29. 선고 2013므4133 판결
채권에 관한 법률관계에 외국적 요소가 있을 경우에, 당사자가 준거법을 선택한 바가 없고, 국제사법에도 당해 법률관계에 적용할 준거법을 정하는 기준에 관한 직접적 규정이 없는 경우에는 법률관계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가의 법에 의하여야 한다(국제사법 제26조 등). 외국의 법률에 의하여 권리를 취득한 채권자가 우리나라에서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제사법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8 .12
Private International law as applied between the two Koreas - A German Perspective -
국제사법연구
2019 .06
국제사법의 역사적 발전과 세계화 시대의 법리 - 법률관계의 구조변화와 Savigny 이론의 재정립 -
법학연구
2021 .11
20년만에 국제사법 개정을 맞이하며
인권과 정의
2020 .01
한국국제사법학회 30년의 회고와 과제: 국제재판관할법의 정립을 넘어 준거법규정의 개정을 향하여
국제사법연구
2023 .06
개정 국제사법과 조합에 관한 槪說
국제사법연구
2023 .06
형사 사건에서의 국제사법 -우리 판례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2019 .12
개정 국제사법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혼인관계사건의 국제재판관할을 중심으로 -
고려법학
2022 .03
국제가족법상 아동의 복리
법학논총
2016 .01
지식재산과 국제사법에 관한 ILA 가이드라인
국제사법연구
2021 .06
당사자자치의 원칙과 불통일법국법의 지정 -유럽국제사법상의 논의와 우리나라 국제사법에의 시사점-
국제사법연구
2019 .12
러시아연방 민법전 제3부 제6편 국제사법
국제사법연구
2024 .06
법정채권의 준거법 분야 「국제사법」 개정 검토 - 주요국 국제사법 관련 규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국제사법연구
2022 .06
독일 에너지법상 망 사업자에 대한 성과금 규정 개정
경제규제와 법
2017 .05
6월부터 시행되는 개정 행정사법, 무엇이 달라지나?
지방정부
2021 .03
국제사법에 있어서 통일규칙 제정의 필요성과 가능성 검토
국제거래와 법
2018 .12
국제사법에서 준거법의 지정에 갈음하는 승인: 유럽연합에서의 논의와 우리 법에의 시사점
국제거래와 법
2021 .10
국제재판관할법: 2022년 개정 국제사법 해설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22 .12
[試譯] 국제사법(國際私法)에 관한 연방법률(1987. 12. 18)
국제사법연구
2020 .06
사회 변화에 따른 국제사법의 과제 및 방법적 다양성
국제사법연구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