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에서 실시한 2019-2020년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 10명 중 5명이 소셜미디어를 통한 쇼핑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The CMO Survey에서 2020년 코로나 펜데믹 기간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전통적인 광고매체의 비용은 축소되고 소셜미디어에 대한 광고지출은 74%나 상승함으로써 소셜미디어가 더욱 중요한 마케팅 요소로 자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만큼 소셜미디어의 이용자 증가와 그에 따른 기업의 마케팅 활동이 활발해지는 동안 소셜미디어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동기, 만족도, 구매의도 등 다양한 마케팅 측면에서 연구되어져 왔으나, 온라인을 통해 농식품을 구매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빈도가 실제구매행위에 어떠한 차이로 나타나는가에 대해 세분화 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이용빈도에 따라 유형별로 군집화하여 농식품 구매상황에서 보여지는 군집별 소비자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제품관여도, 제품필요도, 온라인 구매채널 선택 등 3가지 농식품 구매상황에 대해 각 군집에서 나타나는 인구통계학적 분포, 지각된 위험, 식습관 라이프스타일 등의 소비자 특성을 확인하고 군집별 유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45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이용빈도 및 온라인 농식품 구매행태에 대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으로 측정변수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소셜미디어 이용빈도에 따른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군집으로 나뉘어졌으며, 첫번째 군집은 주로 개방형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집단, 두번째 군집은 개방형 소셜미디어와 폐쇄형 소셜미디어, 온라인 쇼핑몰을 고루 사용하는 집단, 세번째 군집은 전반적으로 온라인 매체 사용량이 적은 집단으로 군집별 특성이 나타났다. 각 3개의 군집을 통해 온라인에서 농식품 구매시 제품관여도, 제품필요도, 구매채널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상황에서 보여지는 군집1의 특성은 소셜미디어나 온라인쇼핑몰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데 거부감이 없는 지방에 거주하는 30대 남자로 소비자특성이 대표된다. 군집2의 특성은 주로 건강식품 구매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로 소비자특성이 대표된다. 군집3의 경우는 온라인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품질과 가격을 많이 따져보고 구매하며, 온라인보다 오프라인 구매가 더 안심인 사람으로 소비자특성이 대표된다. 본 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 이용빈도에 따라 농식품 구매상황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특성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소셜미디어 고객타겟팅과 고객세분화 등에 대한 마케팅 실무의 전략적인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cording to the 2019-2020 social media usage survey conducted by the Seoul e-commerce center, 5 out of 10 consumers have experienced shopping through social media. The cost of traditional advertising media has been reduced and advertising spending on social media has risen by 74%, indicating that social media is becoming a more important marketing element. While the number of users of social media has increased and corporate marketing activities have increased according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of marketing such as user motivation for social media,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re was no subdivided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media usage frequency of consumers in actual purchasing behavior.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consumer characteristics by cluster in the agrifood purchase situation by grouping them by typ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for consumers who purchase agri-food online. Product involvement, product need, and online purchase channel Consumer characteristics such as demographic distribution, perceived risk, and eating and lifestyle in each cluster were checked for the three agrifood purchase situations including choice, and types for each cluster were presented. To this end, questionnaire data on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and online agrifood purchase behavior were collected from 245 consumers, and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was secur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it was divided into three clusters. The first cluster was a group that mainly used open social media, and the second cluster was a group that used both open and closed social media and online shopping malls; The third cluster was a group with low online media usage overall,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appear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on product involvement, product need, and purchase channel selection when purchasing agri-food online through each of the three clusters was confirm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characteristic of cluster 1 in the situation of purchasing agri-food online is a male in his 30s living in a rural area who has no reluctance to purchase agri-food on social media or online shopping malls.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 2 are mainly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purchasing health food,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In the case of cluster 3, when purchasing products online, they purchase after considering quality and price a lot,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as people who are more confident in purchasing offline than online. Through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consumer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agri-food purchase situa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it can be helpful in strategic judgments in marketing practice on social media customer targeting and customer seg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