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앙아시아의 수자원 문제와 국가 간 협력 방안
유라시아연구
2017 .01
청동기시대 수리시설물의 구조와 변천
야외고고학
2015 .07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에서 식생정비 사업의 양상과 특징에 관한 고찰- 프레아 칸 사원・반테이 스레이 사원・타 프롬 사원을 중심으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8 .01
夷域에서 外國으로: 元代 중국인의 앙코르 왕국 재현 특징 -周達觀의 『眞臘風土記』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2019 .01
地形과 水文學的分析을 통해 본 古代水利施設의 農業生産力연구
한국상고사학보
2015 .01
우리나라 先史∼古代水利施設의괮型과 發達過程
한국상고사학보
2015 .01
베트남 옥 에오(Oc Eo)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재질 및 특성 연구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6 .01
고대 중국 漁業경영의 변화와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중국학논총
2022 .03
[동남아시아] 경계 넘기와 새로운 시각의 모색 : 2012~2015년 동남아시아사 연구동향
역사학보
2016 .10
전통수리시설의 특징과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농업유산 선정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무형유산
2022 .06
[동남아시아] 팬데믹과 함께 드러난 한국 동남아시아 역사학의 민낯: 2020~2023 한국 동남아시아 역사학 연구 동향
역사학보
2024 .09
출토문서를 통해 본 唐代 西北 지역의 水利 行政
중국고중세사연구
2022 .11
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난 동남아시아 재현 양상 연구
우리문학연구
2022 .01
조선 후기 금호강 유역의 농업과 수리시설
동서인문
2021 .12
전통 수리(水利)시설 축조 관련 전설과 전통지식
무형유산
2022 .06
고고학에서 본 한국 고대사 : 한반도의 ‘초기국가’와 고대
한국고대사연구
2023 .06
수리(水利) 문화유산과 전통지식
무형유산
2023 .06
한국의 ‘고대’와 초기국가
한국고대사연구
2023 .06
唐 후반기 長江유역의 水利 시설과 관리 - 건설ㆍ관리의 주체 변화를 중심으로 -
중국사연구
2015 .01
1930년대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수리(水利)’ 노동 재현과 그 정치적 함의 : 한설야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