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Ⅰ. The Necessity of Discuss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of Mythological Succession Education
Ⅲ. The Embodiment of Mythological Succession Education
Ⅳ. The Significance of Mythological Success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Works Cited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15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신화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언어문학
2018 .01
Modified Mythological Figures, Theseus’ Character, and Patriarchal Power in A Midsummer Night’s Dream
Shakespeare Review
2018 .09
‘신화적 상상력’의 날개 [서평] 김헌(2016), 『그리스 문학의 신화적 상상력』,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52쪽.
인문논총
2017 .01
21세기 중국 신화의 현재성 담론에서 ‘神話資源’ 토론의 발단
중국어문학논집
2021 .06
Greek and Roman Myths in the Early Works of P. B. Shelley
영미어문학
2017 .09
〈단군신화〉의 원형적 의미를 활용한 자기 신화 쓰기 교육 연구
국어문학
2021 .03
창작동화 《녹디생이, 사라진 변기를 찾아라》의 신화 인물 수용 양상과 문제점
겨레어문학
2020 .01
中?始祖神??比?究
철학∙사상∙문화
2021 .01
아버지의 이름 고찰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를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2021 .01
중국 소수민족 신화와 생태, 그리고 ‘공유(commons)’ - 담론의 전쟁에서 공유의 담론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21 .08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문화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설화와 신화 텍스트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8 .08
영상콘텐츠 소스로서 신화 모티프의 변용과 활용 연구 -서유기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19 .01
세계 3대 창세신화 비교 연구 - 중국, 중동, 인도를 중심으로
용봉인문논총
2018 .01
신화 리터러시와 워킹그룹 토론 - 전북대학교 <독일드라마의이해> 강의 분석 중심으로 -
수사학
2023 .09
마오쩌둥 시대의 정치 신화
중국어문학논집
2023 .06
『가락국기』 신화의 전승에 나타난 생태적 관점과 의미
민족문화
2016 .06
Emily Dickinson’s Poetic Reading of Greek Mythology
현대영미시연구
2016 .01
탈가부장적 신화 읽기의 전략들 : 텍스트의 전복, 해체, 확장
종교문화연구
2015 .12
基於原型理論的中國神話角色影像改編硏究:以哪吒形象爲主
동아인문학
2022 .06
Asiatic Motifs and Korean Identity Inherent in Korean Myths: Wolf, Serpent, and Bird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1 .12
0